초6의 독서는 달라야 합니다 - 책 싫어하는 고학년의 문해력·독해력·독서 감상문 잡는 기술 바른 교육 시리즈 19
전영신 지음 / 서사원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즈음은 독서와 문해력과의 중요성을 너무 익히 들리고, 여러 독서에 관한 정보가 넘쳐나는 시기이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영유아시기, 학령기시기에 문해력을 키울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너무 포괄적이고 광범위하여, 적용하기가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다. 특히 제목을 보고, 아이들이 독서의 양이 서서히 줄어드는 초등 고학년 시기에 어떻게 문해력과 나아가, 작문능력, 독서감상문을 통해 북토크를 어떻게 진행하면 좋을지 여러 방법들을 배울 수 있을까 싶어 기대가 되었다.

독서의 양이 급속도로 줄어드는 초등 고학년, 그러면 어떻게 읽게 해야할까? 완독의 기쁨을 나누는 것이 중요하며, 학습의 양이 많아지는 시기이기 때문에 독서 시간이 현저히 줄어들기 쉽다. 그래서 저자는 책 읽는 시간을 미리 정하고 평범한 루틴으로 설정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말하다. 또한 자투리 시간을 활용하여 틈새 독서를 해서 집중력 강화까지도 잡을 수 있다고 이야기 한다.

또한, 아이들의 비판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책을 읽고 나서 꼭 북토크를 해야한다고 강조한다. 일단 북토크는 책을 읽고 난 직후에, 아이와 책을 읽고 난 뒤의 감상과 경험을 다정하게 들어주는 것이다. 그렇다. 북토크는 무언가를 가르치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책을 읽고 수다를 떠는 것이다.

가정에서의 독서 전 후의 경험을 통하여 아이들이 책에 대한 긍적적인 감정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 특히 고학년때 무엇보다도 진짜 독서, 진짜 글쓰기가 이루워저야한 것이 아닐까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