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공부, 스스로 끝까지 하는 힘
김성효 지음 / 해냄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큰 아이가 내년에 초등학교에 입학을 한다. 그래서인지 요즈음 읽는 책의 주제들이 모두 초등 학습, 메타 인지, 독서 교육 등 학습과 관련된 것 들이 많다. 이번에 소개할 책도 아이들의 자기 주도적인 학습에 대한 모든 것이라 할 수 있다. 아이들 키우면서, 내가 학령기 때 어떻게 공부를 했었지? 하며 과거 나의 학습 습관을 되돌아보게 된다. 이런 점은 정말 성과가 잘 나올만한 학습 습관이었구나, 하고 말이다. 그리고 이런 점은 좀 공부할 때 어렵게 느껴졌는데, 이 부분을 좀더 채웠다면 더 나았겠구나, 하는 생각도 하게 되었다.

이 책을 처음부터 읽으면서 가장 눈에 들어 왔던 부분은 <메타 인지> 부분이다.

큰 아이와 공부하면서, 어려운 수학 사고력 문제를 푸는 데, 해결 방법을 어려워하자, 어려운 부분을 엄마에게 처음부터 안 풀리는 부분을 설명해줘볼래? 하고 넌지지 이야기해보았다. 그랬더니, 나에게 이야기하면서 스스로 깨우쳐가는 모습을 보게 되었다. 이 책에서도 메타인지를 기르는 평범하면서도 특별한 두 가지 방법을 "설명하기"와 "가르치기"라고 하였다. 설명을 하다 보면, 도중에 막히는 부분이 나오는 경우가 나온다. 특히 그러한 부족한 부분을 스스로 찾아서 보완하고 잘하는 부분은 더욱 더 장기기억에 기억하여 명확하게 확인하게 된다. 그래서 화이트보드를 준비해서 아이들이 스스로 그림을 그리고 도식화하며 글을 써가면서 선생님처럼 배운 것을 복습하는 차원으로 설명하게 하는 과정을 가지면, 혼자 하는 최고의 공부법이 된다.

그리고, 두번째 방법으로는 "가르치기"가 있다. 나는 첫번째 수능에서 목표했던 점수가 나오지 않아 재수를 했다. 두번 째 수능을 준비하면서, 재수 학원에서 친해진 단짝 친구와 서로 가르치기 방법을 통하여 사회 탐구, 과학 탐구 영역을 점수를 만점가까이 상승시켰던 경험이 있다. 처음에는 내가 몰랐던 문제를 친구에게 물어보았는데, 그 친구가 본인의 문제집을 가지고 서로 미처 몰랐던 부분을 토론까지 해가면서 서로 함께 공부했었다. 마찬가지로 그 친구가 내게 물어보는 부분도, 서로 알고 있는 것과 비교하면서, 완벽하게 그 주제는 모의고사에서나 수능에서도 틀린 적 없이 100% 이해하고 넘어갔던 기억이 있다.

   따라서 내 아이에게도 이 책에서 제시된 메타인지와 자기주도학습 부분만을 확실하게 활용하여 공부습관을 기르도록 옆에서 지도해주려고 한다. 더불어 "내가 이 부분은 약하니 더 보완해야겠다"는 메타인지 부분과 함께 공부 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부모의 노력도 중요할 듯 싶다. 작가가 이야기하고 싶은 마지막 말도 기억에 남는다. "꾸준함이 쌓이면 탁월함이 된다"

아이가 학령기에 진입한다는 것이 얼마나 부모에게 큰 두려움과 불안이 함께 한다는 걸 몸소 느끼고 있지만, 이 책을 통해서 한 줄기의 빛처럼 손 내밀고 응원해주는 부모의 모습을 지니고자 더욱 더 노력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