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섯 번째 대멸종
엘리자베스 콜버트 지음, 김보영 옮김, 최재천 감수 / 쌤앤파커스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서적은 인간의 환경파괴로 인해 벌어지는 멸종에 대해 다루는 서적으로 저널리스트인 저자가 세계에서 목격한 인류 자신마저 멸종시키려 하는 멸종의 심각한 증거를 제시하며 경각심을 고취시킨다. 출간(2014년) 당시보다 더 심각해진 생물들의 소멸에 대해 깊은 사유를 전할 유익한 서적이라 하겠다.


서적은 총 13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장마다 주제가 되는 생물을 소개하며 멸종, 진화, 이동 소멸, 위험 신호에 대해 전문가들의 연구 결과를 제시하며 독자들에게 그 심각성을 강조하는 형식으로 전개한다.

1장은 지구 최고의 생존력을 지닌 양서류인 파나마 황금개구리를 비롯한 개구리 류가 항아리 곰팡이에 의해 사라졌으며 곰팡이가 전 세계로 이동하며 양서류를 소멸시키고 있다는 무서운 진실을 알려준다.

2장은 이 서적에서 자주 언급되는 퀴비에의 활동과 주장을 다루는데 코끼리와 비슷한 모습의 마스토돈을 비롯한 사라진 동물들을 연구하고 멸종이 특수한 현상이 아닌 일반적인 현상이라 주장한다. 퀴비어의 주장처럼 지구의 자연은 끔찍한 사건이 발생하면 궤도를 변경하고 수많은 생명체가 멸종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3장은 원조 펭귄이라 불리는 큰바다 쇠오리를 마치 가축처럼 잡고 포획, 수시로 도축하여 개체수를 급감시키다 마지막 큰바다 쇠오리마저 1844년 아이슬란드인이 엘데이섬으로 가서 포획하여 지구에서 사라진 사실을 고발한다. 이 장에서 다윈도 <종의 기원>에서 인간의 개입으로 멸절된 동물이 생긴다는 언급을 했지만 진화의 부작용으로 발생하는 멸종에 대해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았던 것으로 보여 진다.

4장은 과학 분야에서 자주 언급되는 소행성 충돌로 소멸한 것으로 예상되는 암모나이트를 다룬다.

5장은 지구환경에 큰 영향을 끼친 다섯 번의 멸종에 대해 시대 순으로 설명하며 다룬 후 ‘인류세’란 용어를 창안한 파울 크뤼천의 논문을 다루며 대기 조성을 바꾼 인간을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지적한다.

6장부터 본격적으로 바다 오염, 온난화로 인한 숲의 파괴와 생물들의 개체 수 감소 및 소멸에 대해 다룬다.


이 서적은 멸종을 맞은 생물들을 각 장마다 다루면서 그 생물들이 사라져 가는 과정의 패턴을 강조하며 한다. 그리고 멸종의 특징은 환경의 변화인데 현재의 변화 속도가 동물들의 적응속도보다 너무 빠르게 일어나 큰 위기에 직면했다는 점을 강조한다. 최근 끝난 기후변화회의에서 개발도상국에 대해 피해보상에 대한 논의가 있었지만 그동안 가장 많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환경을 파괴한 선진국은 현재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기준으로 각국의 지원을 요청해 중국의 반발을 불러왔다. 우리나라도 온실가스 배출 세계11위인데 기후정책 이행수준은 세계 최하위에 머물고 있으며 재생에너지에 대한 비중이 매우 낮아 걱정이 된다. 갈수록 환경 보호가 중심이 되는 세계 무역에서 수출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는 현재 국내의 에너지 정책을 단기간에 수정하도록 정치권과 시민사회가 공감대를 이루길 희망한다. 환경 문제에 큰 울림을 줄 유익한 과학 도서로 많은 분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이 서평은 출판사에서 서적을 무상으로 제공 받아 작성한 글임을 알려 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