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역사학자 유 엠 부틴의 고조선 연구 - 고조선, 역사.고고학적 개요
유리 미하일로비치 부틴 지음, 이병두 옮김, 유정희 해제 / 아이네아스 / 2019년 8월
평점 :
절판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서적은 구소련의 작가가 1982년 고조선 역사에 관해 영토와 인종에 대해 고조선의 문화사료를 연구하여 객관적으로 기술한 서적으로 고조선 역사 연구에 참고가 될 내용을 방대하게 담고 있어 역사에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 호평을 받을 서적으로 평하고 싶다.

 

이 서적은 총 4장으로 나누어져 있다. 1장은 고조선의 영토와 인종 구성, 2장은 문헌 자료에 나타난 고조선, 3장은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고조선의 유물을 토대로 초기 청동기시대부터 철기시대까지의 고조선의 문화, 4장은 고조선의 사회 경제 구성으로 크게 나누어져 있다.

 

1장에서 고조선의 영토는 요동 대부분의 지역길림 대부분의 지역한반도 북부와 강원도 일부지역이라는 것을 거의 확실하게 단정 짓는다수도 왕검성의 위치도 요동지역이라는 증거를 여러 사료를 통해 입증한다인종은 예족(길림지방 남부와 한반도 북부)과 맥족(요서지역요화강 중류요동반도 서북부 지역)이 토대가 되어 예맥족이 고조선 주민의 토대라고 설명한다.

 

2장이 가장 놀라운 부분인데 사료에 나타난 고조선에 대한 내용이다. <사기>, <한서>,<삼국지>, <자치통감>, <후한서>의 글을 인용해 중화사상의 일환으로 중국의 역사서에서 왜곡되어 모순이 발생하는 부분과 일본 식민사관에 의해 일본의 사학자와 남한의 사학자가 잘못 기술한 부분도 지적한다저자는 12세기 이전은 전설상의 시대로 추정하고 기원전 12세기에서 9세기경 최초의 통치체계를 갖춘 고조선 왕조가 출현했다고 기술하고 기원 7세기부터 3세기까지 중국 사서의 기록은 중화사상에 근거해 기술해 신뢰도가 낮다고 단정한다당시 중국은 우리는 물론 현재 베트남지역을 비롯한 국가들을 오랑캐의 나라라 단정해 많은 역사왜국을 했다기원전 2세기는 고조선의 마지막 단계로 활발한 무역활동과 경제가 번성하던 시기 한제국과 대항하다 전쟁에 패하는 시기라 전쟁관련 내용을 많은 사료에서 찾을 수 있다.

 

3장 청동기시대부터 철기시대에 관한 내용은 50년 전 유물에 기초한 내용이라 이후 발견된 유적물과 유물에 대한 기록이 빠져 있어 신뢰도가 떨어지기는 하지만 고조선의 영토매장문화와 계급이 존재했다는 증거를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이라 하겠다.

 

 

 

4장은 고조선 사회구조생산력을 확인할 수 있다계급이 존재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경제의 발전으로 인한 빈부의 차이와 부를 축적한 귀족이 자신들의 이익과 재산관리를 위해 권익을 위한 계급사회의 구성과 국가기관이 강화되었다세습귀족지주노예평민 계급으로 나누어진 시기를 북한 학자는 기원전 7세기경으로 일본의 식민사관에 기초한 남한의 사학자는 기원전 4세기로 보고 있다귀족의 권리를 위한 ‘8조 금법이 존재 했으며 사회경제적으로 중국과 유사한 수준으로 발전한 국가라고 저자는 주장한다.

 

이 서적을 보면서 고조선이 우리의 역사지만 분단국가의 한계에 부딪혀 고조선에 대한 연구가 미진했다는 생각이 들었다중국러시아북한의 사학자들의 연구로 고조선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다는 게 그나마 다행이란 생각이 들었다구소련의 작가가 고조선에 대해 방대한 사료와 유물을 연구하고 분석하여 고조선의 영토인종시회역사를 객관적으로 서술했다는 부분은 이 서적의 가장 놀라운 부분이다고대 우리나라의 역사에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 일독을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