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과 서커스 - 2,000년을 견뎌낸 로마 유산의 증언
나카가와 요시타카 지음, 임해성 옮김 / 예문아카이브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서적은 로마의 멸망 원인 중 하나로 거론되는 풍요와 향락에 대하여 토목공학의 전문가의 입장으로 로마의 풍요와 향락을 위해 발전시킨 건축과 토목공사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의 결과를 반영한 내용을 담고 있다. 공화정에서 제정으로 변해 나타날 수 있었던 로마시민들의 불만을 해소하기 위한 정치적 행위가 로마의 멸망을 초래했는가에 대한 내용과 로마 멸망의 정확한 원인이 무엇인가에 대한 독자들의 생각에 도움을 줄 서적으로 많은 분들에게 빵과 서커스의 명암에 관한 다양한 견해를 갖도록 도움을 줄 서적으로 평하고 싶다.

 



서적은 일본인 작가가 초반부 로마와 현재 국내의 상황을 비교한 부분에서 나타나 듯 한국 독자에게 먼저 선 보이기 위해 집필되었다. 서적은 총 8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3장 까지는 로마제국이 위대한 업적인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를 완성하기 위해 발전되었던 상하수도, 가도에 관한 문화유산에 대해 정리한다. 4장은 식량문제를 해결하는데 일등 공신인 해도와 조선의 발전, 5장에서는 오락과 휴식을 제공하는 다양한 공간들 목욕이나 운동을 하는 장소인 대중 욕장, 연극공연을 위한 원형극장, 검투사들과 맹수와의 혈전이 벌어진 원형경기장, 영화 <벤허>의 명장면으로 기억되는 전차 경주장, 모의 해전을 위한 인공연못들에 대해 상세한 건축물에 대한 소개, 개수, 비용에 대해 설명하고 있어 전문가의 면모가 드러난 부분이었다. 6장은 기독교가 국교로 채택된 후 그리스, 로마의 다신들이 이교도로 명명되어 신전이나 건축물들이 성당을 위한 채석장으로 변하는 안타까운 내용이다. 7장은 시민의 교양과 지식의 보고였던 수많은 도서관과 장서의 규모를 설명한 후 기독교도들에 의해 이교배척으로 파괴된 장서와 학술의 후퇴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1448년 유럽 최대의 도서관인 바티칸 도서관의 장서가 3,500여권에 불과 했다는 내용은 충격이 아닐 수 없다. (로마시대 알렉산드리아의 도서관 소장 도서 : 70여만 권) 9장은 로마 몰락의 원인을 빵과 서커스가 아닌 서로마, 동로마로 분할, 기독교의 배교 등 다른 시각으로 해석하고 로마가 남긴 건축물과 제도를 통해 남긴 유산과 로마제국이 멸망하지 않았으면 발전할 수 있었던 분야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 서적에서 가장 두드러진 부분은 건축과련 전문가의 분석이 나타난 부분이라 하겠다. 마이크가 없던 시절 소리의 공명을 최대한 높이기 위해 과학적으로 건설된 원형 극장, 전쟁을 위해 건설되었지만 많은 사람들의 교류가 빈번할 수 있도록 발전된 가도와 가도에 대한 방대한 지도, 시민들의 휴식을 위해 초대형으로 건설된 대욕장(도서관, 운동 공간, 토론 공간, 개인 욕장, 대형 욕장이 포함)의 설계도면, 현대의 블록버스터로 불리는 모의해전을 보여주기 위한 인공연못에 투입된 예산이었다.

 



전두환 군사정권이 들어서고 국풍 81, 프로야구가 탄생, 1986년 아시안 게임, 1988년 올림픽을 유치하였다. 민주적인 절차가 아닌 정당성이 없는 군인들이 국민의 시야를 다른 곳으로 돌리기 위해 관제의 주도로 우리에게 로마시대의 서커스를 제공하였다. 로마도 공화제에서 전제의 국가가 되며 시민들의 불만을 잠재우기 위한 행사를 열기 위해 다양한 건축물과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였다. 하지만 가장 타락했다고 여겨지던 시기를 300여년이나 서로마는 지속되었다. 오히려 기독교가 국교가 된 후 나타난 모든 분야의 퇴보는 1,000년 후 르네상스시대까지 시계를 멈추게 하였다는 저자의 주장에 일정 부분 동의한다. 내가 서적에서 가장 안타깝게 느꼈던 부분은 고귀한 장서의 소실과 자유로운 의사 교환이나 토론 없이 정체되었던 정치, 학술분야라 하겠다.

 

이 서적은 로마제국에서 빵과 서커스로 거론된 부분의 건축물, 동원인원, 신분제등에 대한 심도 있는 내용을 설명하며 진정 로마제국의 멸망의 원인은 아니라는 역설을 담고 있다. 그리고 로마제국 멸망에 큰 원인이 무엇인지, 과학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업적과 위대한 유산에 대한 전문가의 설명이 다양한 시각으로 로마사를 접근하는 분들에게 도움을 줄 내용으로 강력 추천하고 서적라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