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과 과학의 화해 - 급진적 종교 개혁파의 관점에서 본
낸시 머피 지음, 김기현.반성수 옮김 / 죠이북스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화해해야 비로소 보이는 것들


과학의 시대를 사는 신앙인들에게 늘 혼돈스러운 지점이 있었다. 마치 신학의 원수는 과학인 것처럼 여겨지는 부분이다. 사실 과학이 발달하기 전, 둘 사이는 별문제가 없었다. 16세기 이후 과학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스티븐 호킹은 <위대한 설계>에서 “철학은 죽었다. 철학이 들고 있던 진리의 횃불을 이제 과학이 들고 있다.”고 말한 것처럼 지금의 과학은 진리의 영역까지도 넘보고 있다. 이에 따라 어떤 진영에서는 과학이 승기를 잡고 있고, 또 다른 진영에서는 더욱 전통을 고수하며 과학을 향해 날선 검을 치켜들고 있다. 언제까지 이런 대치 속에서 신앙인들이 혼란을 겪어야 할까? 이 고민에 대해 답해줄 귀한 책이 나왔다.


<신학과 과학의 화해>라는 책이다. 저자인 낸시 머피는 신학과 과학을 향해 ‘화해의 아이’로서 말한다. “나는 여기서 기독교 신학과 현대 과학이 조화를 이루는 몇 가지 방식을 개략적으로 소개할 것이다. 신학과 과학 사이의 흐름은 양방향이다. 과학이 진보함에 따라 우리는 때때로 신학을 수정해야 한다. 또한 과학이 신학을 수정하듯, 때때로 신학도 과학의 결점을 보완해야 한다. 우리 시대의 ‘복음 전도적 무신론자들’이 과학을 순수 자연주의적 세계관과 통합하는 효과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이 때에, 과학과 신학의 이러한 화해는 매우 중요하다. 나는 신학과 과학을 아우르는 세계관이 무신론의 세계관보다 일관성 있으며 더 많은 것을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나는 낸시 머피의 말이 신학과 과학은 원수가 아니라 ‘돕는 베필’이라는 말로 들린다. 둘은 각각의 발전에 따라 서로 균형을 맞추며 수정 보완하는 관계다. 과학이 발전할수록 신학을 위협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하나님에 대해 입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다. 만약 좀 더 생생한 신앙, 눈에 보이는 신앙을 원한다면 <신학과 과학의 화해>를 일독해보면 좋겠다. 사이가 안 좋은 두 친구를 화해시키는 과정이 간단하지는 않지만, 읽으면 읽을수록 머릿속 창조 세계가 아니라, 꿈틀거리며 살아 있는 창조 세계를 바라보게 될 것이다. 화해해야 비로소 보이는 것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학과 과학의 화해 - 급진적 종교 개혁파의 관점에서 본
낸시 머피 지음, 김기현.반성수 옮김 / 죠이북스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화해해야 비로소 보이는 것들

과학의 시대를 사는 신앙인들에게 늘 혼돈스러운 지점이 있었다. 마치 신학의 원수는 과학인 것처럼 여겨지는 부분이다. 사실 과학이 발달하기 전, 둘 사이는 별문제가 없었다. 16세기 이후 과학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스티븐 호킹은 <위대한 설계>에서 “철학은 죽었다. 철학이 들고 있던 진리의 횃불을 이제 과학이 들고 있다.”고 말한 것처럼 지금의 과학은 진리의 영역까지도 넘보고 있다. 이에 따라 어떤 진영에서는 과학이 승기를 잡고 있고, 또 다른 진영에서는 더욱 전통을 고수하며 과학을 향해 날선 검을 치켜들고 있다. 언제까지 이런 대치 속에서 신앙인들이 혼란을 겪어야 할까? 이 고민에 대해 답해줄 귀한 책이 나왔다.

<신학과 과학의 화해>라는 책이다. 저자인 낸시 머피는 신학과 과학을 향해 ‘화해의 아이’로서 말한다. “나는 여기서 기독교 신학과 현대 과학이 조화를 이루는 몇 가지 방식을 개략적으로 소개할 것이다. 신학과 과학 사이의 흐름은 양방향이다. 과학이 진보함에 따라 우리는 때때로 신학을 수정해야 한다. 또한 과학이 신학을 수정하듯, 때때로 신학도 과학의 결점을 보완해야 한다. 우리 시대의 ‘복음 전도적 무신론자들’이 과학을 순수 자연주의적 세계관과 통합하는 효과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이 때에, 과학과 신학의 이러한 화해는 매우 중요하다. 나는 신학과 과학을 아우르는 세계관이 무신론의 세계관보다 일관성 있으며 더 많은 것을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나는 낸시 머피의 말이 신학과 과학은 원수가 아니라 ‘돕는 베필’이라는 말로 들린다. 둘은 각각의 발전에 따라 서로 균형을 맞추며 수정 보완하는 관계다. 과학이 발전할수록 신학을 위협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하나님에 대해 입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다. 만약 좀 더 생생한 신앙, 눈에 보이는 신앙을 원한다면 <신학과 과학의 화해>를 일독해보면 좋겠다. 사이가 안 좋은 두 친구를 화해시키는 과정이 간단하지는 않지만, 읽으면 읽을수록 머릿속 창조 세계가 아니라, 꿈틀거리며 살아 있는 창조 세계를 바라보게 될 것이다. 화해해야 비로소 보이는 것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든 사람을 위한 성경 묵상법
김기현 지음 / 성서유니온선교회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뜻.살.법



“수고하며 무거운 짐을 진 사람은 모두 내게로 오너라. 내가 너희를 쉬게 하겠다. (마 11:28 / 새번역)”

예수님의 말씀이다. 예수께서는 죽은 율법을 지키느라 죄책에 눌려 있는 죄인들에게 쉼을 약속하셨다. 그가 주시는 쉼이란 그 다음 구절이 말하듯 예수의 멍에를 메고 그에게서 배우는 것이다. 즉 주께서 이끄시는 대로 따라가면서 배우는 것이다. 다른 말로 표현해보면, 내 힘이 아닌 주님의 힘을 의지하는 것이다. 놀랍게도 ‘의지하는 것’은 ‘일타이피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 주님의 뜻을 배울 수도 있고, 동시에 쉼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요즘 말로 하면 얼마나 ‘개-이득’인가? 주님은 진심으로 우리가 개-이득 얻길 원하신다.

그런데 문제가 있다. 교회를 다니면 다닐수록. 신앙생활을 하면 할수록 더 어깨가 무거워진다. 원인 중 하나가 ‘묵상’이다. 묵상을 나누려고 하면 많은 이들의 얼굴이 ‘울상’이 된다. 왜일까? 묵상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왜 어려울까? 내가 성도들을 통해 느끼는 것을 생각해 보면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먼저 말씀 속에서 정답을 찾아야 한다는 부담감이다. 두 번째는 적용점을 찾아야 한다는 부담감이다. 때문에 묵상은 믿는 자의 무거운 짐이 되었다. 이러한 현실을 두고 <모든 사람을 위한 성경 묵상법>의 저자 김기현은 “한국 교회의 묵상 운동이 실패”했다고 말한다. 그리고 “한글을 갓 뗀 아이로부터 최근 교회에 다니기 시작한 노인까지도 할 수 있는” 성경적인 묵상법을 제시한다.

본 책은 묵상을 통해 살아난 저자의 이야기로부터 초급, 중급, 목회자를 위한 수준별 묵상법을 소개한다. 뿐만 아니라 상황적으로 묵상이 어려운 직장인들도 묵상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저자는 자칫 묵상이 말씀 연구로 빠져 머리만 큰 괴물이 될 위험도 간과하지 않는다. 종교적인 우월감 때문에 어깨에 힘이 들어가는 유혹도 염두해두고 있다. 이론적이지 않고 철저히 실용적이다. 한 마디로 묵상법을 정의해 보자면 ‘아. 뜻. 살. 법’이다. 저자가 밝힌 대로 “아버지 뜻대로 ‘살아지는’ 묵상”법이라는 의미다. 예수께 배우며 쉼을 누리는 일타이피를 넘어 삶으로 ‘살아지는’ 일타삼피의 묵상법이다.

무협소설 <소호강호>에 보면 ‘흡성대법’이라는 무공이 나온다. 상대의 기를 흡수하여 내 것으로 만드는 기공이다. 나는 <모든 사람을 위한 성경 묵상법>을 읽는 내내 이 ‘흡성대법’이 생각났다. 내게 선한 것이 없음으로 예수의 말씀을 흡수하여 내 것으로 만드는 것! 이 얼마나 성경적인 삶이란 말인가? 이것이 바로 저자가 주장하는 묵상의 비기 ‘아. 뜻. 살. 법’이다. 이는 ‘하늘에서 이루어진 뜻을 이 땅에 이루는’ 비기 중의 비기다. ‘수고하며 묵상의 무거운 짐을 진 사람은 모두 <모든 사람을 위한 성경 묵상법>을 손에 넣고 ’아. 뜻. 살. 법‘을 애써 익히길 권면한다. 묵상은 더 이상 짐이 아닌 쉼이 될 것이다.

칼 바르트는 “한 손에 성경을 한 손에 신문을!”이라는 말을 했다. 그만큼 신앙과 사회를 균형 있게 바라보자는 권고다. 이는 하나님의 뜻을 분명히 알고 세상을 알아야 한다는 의미다. 바로 알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결국은 바로 살기 위해서다. 바로 살기 원하는가? 그렇다면 성경을 손에 쥐고만 있지 말고 묵상하자! 묵상하려면 꼭 <모든 사람을 위한 성경 묵상법>을 참고하자. 김기현파의 비기 ‘아 뜻. 살. 법’을 전수 받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교회를 사랑합니다 - 진리가 우리를 더 사랑하게 하고 더 하나 되게 한다
조영민 지음 / 좋은씨앗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만 보아도 뭉클하다. 이 책은 교회를 향한 저자의 마음이기도 하지만 더 깊은 곳에 예수의 마음을 담고 있다. 분명 글인데 이 시대를 향한 저자의 강렬한 호소와 눈물이 두 눈에 선명하다. 읽다보면 함께 마음이 뜨거워지고 어느새 “나도 교회를 사랑합니다”라고 고백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야매상담 - 이 땅의 청춘들에게
오선화 지음 / 홍성사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100자로는 평할 수 없는데...간단히 표현하자면... 오선화작가의 야메상담은 마치 `돼지국밥`과도 같은 책이다. 그녀의 툭툭 던지는 말은 절대 고급지지지 않다. 오히려 욕쟁이 할머니 같다. 그러나 `진심`이 가득해 영혼의 허기마져 달래 준다는 돼지국밥처럼 속을 꽉 채워주는 맛이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