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쓰레기에서 찾은 불평등 이야기 ㅣ 생각하는 어린이 사회편 7
하영희 지음, 이진아 그림 / 리틀씨앤톡 / 2023년 2월
평점 :
#쓰레기 #불평등 #신분 #핵폐기물 #플라스틱쓰레기 #재활용 #재사용 #우주쓰레기
<쓰레기에서 찾은 불평등 이야기>

우리가 버린 쓰레기는 어디로 갈까요?
물건을 사는 순간부터 나오는 쓰레기들~~
분리수거를 했으니 나는 쓰레기 통에 잘 버렸으니 괜찮다고 생각하는 건 아니지요.
쓰레기가 내 눈앞에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사라진 건 아니에요.
자~~<쓰레기에서 찾은 불평등 이야기>을 통해서
우리가 버린 쓰레기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 가져볼까요?

<쓰레기에서 찾은 불평등 이야기>에는 쓰레기와 불평등한 관한 이야기가 담겨 있어요.
도시와 지방간 불평등, 국가 간의 불평등, 소득 간에 불평등,
신분 계급에 따른 불평등, 기업과 개인 간의 불평등,
그리고 기술간의 불평등
우리가 알게 모르게 만든 쓰레기!에 누군가가 피해를 입고 있다면
여러분의 마음은 어떠신가요?
지금도 지구촌 곳곳에서는 탈핵! 시위가 벌어지고 있어요.
원자력 발전소에서 생산한 에너지로 우리는 전기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많은 방사선과 방사선에 오염된 부품과 작업복 등 핵폐기물이 발생하지요.
이런 핵 페기물은 암이나 기형을 포함한 다양한 유전적인 질병을 일으킬 수 있어요.
물론 그 양에 따라 다르지만 많은 양의 방사선에 노출되면 사망하기도 한답니다.
하지만, 핵 폐기물을 완전하게 처리하는 방법!은 없어요.
단지, 되도록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 시설을 만들지.....
그런데 이런 핵폐기물 시설이 위치한 지역은 지진의 위험이 없고
지하수가 흐르지 앟는 단단한 땅으로 화산이 업는 안전한 지역이어야 해.
여기에 인구 밀집 지역이나 자원 개발이 가능한 지역은 피하고 있어.
하나 더, 핵 폐기물에서 나오는 열을 식히기 위한 물이 있어야 하지.....
과연 이런 곳은 어디일까?
님비 현상 (NIMBY; Not in my backyard) 이라는 이야기를 들어보셨나요?
필요성은 알지만 주변에 위험하거나 해로운 영향을 주는 건 NO!
내가 살고 있는지역에 원자력 발전소, 쓰러기 처리장, 화장장, 교도소와 같은 시설들이
들어오는 걸 꺼리는 현상인데요.

<쓰레기에서 찾은 불평등 이야기>을 통해서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 대한민국에 이렇게 불평등이 많다니 놀랍기만 하네요~~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덴마크의 수도 코펜하겐에서는 스키장이 알고보니 쓰레기 소각장이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독일은 2022년까지 모든 원자력 발전소를 폐쇄했어요.
이탈리아, 스웨덴, 벨기에, 오스트리아, 스위스도
대체 에너지를 통해서 탈원전을 준비하고 있답니다.
그러나!!! 대한민국은 현재!!!!
탈원전은 커녕~~ 기간이 만료된 원전의 수명을 연장하는 법을 통과시켰답니다.
처음부터 사용기간이 정해져 있는데~~
아무런 대책도 없이~~~~~
알고 지킬 수 있는 사람이 되기위해
<쓰레기에서 찾은 불평등 이야기>을
함께 읽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물론 지역 간의 불평등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에요~~
<쓰레기에서 찾은 불평등 이야기>을 통해서
우리가 버린 쓰레기에 대해 한번 더 생각해 보는 시간 가져보아요.
<출판사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