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비발디 : 리코더 협주곡
Arcana / 2006년 6월
평점 :
품절


이제까지 바로크시대라 하면 415Hz의 피치를 쓰는 것이 정석이라 여겼었는데, 오베를링어와 마르카의 유쾌한 친구들은 440Hz의 피치를 사용했다. 두 개의 차이는 약 반음정도의 차이인데, 피치가 높을수록 음악은 더 화려해진다. 내지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비발디 당시의 관습은 440Hz의 피치를 사용했다는 것. 수많은 비발디 콘체르토가 415Hz의 피치를 채택한 반면 이들은 그 시대상을 반영 복원하는데 의미를 두었다. 그래서 이런 측면에서 보면 이들의 연주가 원전연주에 더 가깝게 접근했다고 보는 것이 옳지 않을까 싶다.

 

오베를링어는 비발디 콘체르토를 두차례 녹음했는데, 아르카나에서 녹음한 본 음반에서 제대로 된 반주상대를 만났다. 카르미뇰라와의 호흡에서 애호가들의 혼을 빼놓았던 그들이 이젠 젊은 리코더주자와 만나 또 한번 신나게 비발디를 부르짖는다. 물론, 사계에서처럼의 다이나믹한 화끈함은 아니지만, 이들의 반주는 시종일관 싱싱함을 머금고 있다. 덕분에 오베를링어의 연주는 구녹음과의 큰 차별성을 보인다. 사실 그녀 자체의 큰 변화는 느껴지지 않는다.

 

하지만, 구녹음 음반을 보유한 이들이 다시 아르카나의 음반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어찌보면 상술일지도 모르겠지만, 두 개의 음반이 전혀 겹치는 레퍼토리가 없다는 것이다. 해석의 차이겠지만, 다소 템포가 느리게 느껴져서 어색하게 들리는 부분(RV 444)들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비발디의 성향을 잘 표현했다는 생각이다.

 

혹시 이들이 디복스(Divox)에서 음반을 냈다면 어떤 느낌으로 와 닿을까. 아르카나의 기술력을 문제삼는 것은 아니지만, 음반을 들으면서 디복스의 섬세함이 사실 좀 그리워지기는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입] 아펙스 - 텔레만 : 리코더 소나타, 판타지아
워너뮤직(WEA) / 2005년 9월
평점 :
품절


아펙스에서 발매된 브뤼헨의 텔레만 음반은 그동안 브뤼헨 에디션을 찾아 헤맨 매니아들에게는 무척이나 반가운 선물일 것이다. 텔덱에서 발매된 브뤼헨의 12개의 에디션은 폐반된 이후 그 흔적을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었다. 그런데 에디션의 1집 음원이 아펙스에서 발매되었다니 실로 가슴 설레는 일이 아닐 수 없다.

리코더 음악의 선구자격인 프란스 브뤼헨은 체계적인 리코더음악의 보급에 힘썼다. 그로부터 수많은 리코더 레퍼토리가 후세에 알려졌고, 후배 연주자들은 그를 모델로 삼았다. 당시의 연주 스타일대로 본 음반의 비브라토는 오늘날에 비해 다소 심한 편이다. 하지만, 감상을 방해할 정도는 아니기에 별 문제는 아닐듯 싶다.

바로크 시대를 통틀어 가장 많은 리코더곡을 쓴 텔레만의 소나타와 무반주 환타지는 리코더 레퍼토리 중에서도 손에 꼽히는 대표곡들이다. 브뤼헨의 톤에서 감상자는 그의 카리스마를 경험할 것이고, 무반주에서 느껴지는 강한 어조는 그의 성향을 짐작케 할 것이다. 빌스마와 레온하르트의 안정감있는 바소 콘티누오는 브뤼헨의 연주에 윤기를 더하고 있다. 텔덱의 고풍스런 자켓은 사라져 버렸지만, 그의 음색은 기다리던 매니아들에겐 단비와도 같은 선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입] 비발디 : 사계 (리코더 버전)
Harmonia Mundi / 2003년 8월
평점 :
품절


 
최근 비온디나 카르미뇰라같은 다이나믹한 비발디의 사계를 이 음반에서 기대해선 안 된다. 우선 악기 자체가 현이 아닌 관이고, 지향하고자 하는 목표점이 틀리기 때문이다. 전자의 비발디를 들으면 생동감 넘치는 연주에 속이 다 후련해지는 기분이 들지만, 후자의 연주에서는 후련함 보다는 평온함이 느껴진다.

프란스 브뤼헨을 사사한 마리온 페어브뤼겐은 플란더스 리코더 사중주단의 잘 정돈된 반주 위로 새소리와 흡사한 리코더의 음색으로 독주 선율을 풀어나간다. 헨델의 리코더 소나타에서 이미 보여준 바 있듯이 다양한 꾸밈음을 사용하면서도 지나치지 않은 중용을 지키는 그녀의 연주는 본 음반에서도 잘 드러나 있다. 이들의 연주는 원곡에 충실하되 현에서는 느낄 수 없는 목가적인 음향을 아낌없이 들려준다.

수많은 단체들이 사계를 연주하지만, 그리고 리코더가 포함된 앙상블의 다양한 앨범들(예를 들어 미칼라 페트리, 펄레이디언 앙상블, 콘라드 스타인만, 레드 프리스트 등)이 발표된 상태이지만, 이 음반이 주목받는 이유는 전 파트를 리코더만으로 구성했다는 것과 폭발적인 음향은 아니더라도 잘 짜여진 내실있는 연주이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다만 아쉬운 점이라면 음반 가격을 저렴하게 낮추면서 '목가적인' 구버전의 자켓이 판에 박은 듯한 멋없는 심플한 자켓으로 바뀌었다는 점이다. 하지만, 저렴한 가격에 괜찮은 음악을 접할 수 있다면 이 정도야 감수해도 좋을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입] 아펙스 - 텔레만 : 리코더 소나타, 판타지아
워너뮤직(WEA) / 2005년 9월
평점 :
품절


아펙스에서 발매된 브뤼헨의 텔레만 음반은 그동안 브뤼헨 에디션을 찾아 헤맨 매니아들에게는 무척이나 반가운 선물일 것이다. 텔덱에서 발매된 브뤼헨의 12개의 에디션은 폐반된 이후 그 흔적을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었다. 그런데 에디션의 1집 음원이 아펙스에서 발매되었다니 실로 가슴 설레는 일이 아닐 수 없다.

리코더 음악의 선구자격인 프란스 브뤼헨은 체계적인 리코더음악의 보급에 힘썼다. 그로부터 수많은 리코더 레퍼토리가 후세에 알려졌고, 후배 연주자들은 그를 모델로 삼았다. 당시의 연주 스타일대로 본 음반의 비브라토는 오늘날에 비해 다소 심한 편이다. 하지만, 감상을 방해할 정도는 아니기에 별 문제는 아닐듯 싶다.

바로크 시대를 통틀어 가장 많은 리코더곡을 쓴 텔레만의 소나타와 무반주 환타지는 리코더 레퍼토리 중에서도 손에 꼽히는 대표곡들이다. 브뤼헨의 톤에서 감상자는 그의 카리스마를 경험할 것이고, 무반주에서 느껴지는 강한 어조는 그의 성향을 짐작케 할 것이다. 빌스마와 레온하르트의 안정감있는 바소 콘티누오는 브뤼헨의 연주에 윤기를 더하고 있다. 텔덱의 고풍스런 자켓은 사라져 버렸지만, 그의 음색은 기다리던 매니아들에겐 단비와도 같은 선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입] 비발디 : 리코더 협주곡
Arcana / 2006년 6월
평점 :
품절


이제까지 바로크시대라 하면 415Hz의 피치를 쓰는 것이 정석이라 여겼었는데, 오베를링어와 마르카의 유쾌한 친구들은 440Hz의 피치를 사용했다. 두 개의 차이는 약 반음정도의 차이인데, 피치가 높을수록 음악은 더 화려해진다. 내지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비발디 당시의 관습은 440Hz의 피치를 사용했다는 것. 수많은 비발디 콘체르토가 415Hz의 피치를 채택한 반면 이들은 그 시대상을 반영 복원하는데 의미를 두었다. 그래서 이런 측면에서 보면 이들의 연주가 원전연주에 더 가깝게 접근했다고 보는 것이 옳지 않을까 싶다.

오베를링어는 비발디 콘체르토를 두차례 녹음했는데, 아르카나에서 녹음한 본 음반에서 제대로 된 반주상대를 만났다. 카르미뇰라와의 호흡에서 애호가들의 혼을 빼놓았던 그들이 이젠 젊은 리코더주자와 만나 또 한번 신나게 비발디를 부르짖는다. 물론, 사계에서처럼의 다이나믹한 화끈함은 아니지만, 이들의 반주는 시종일관 싱싱함을 머금고 있다. 덕분에 오베를링어의 연주는 구녹음과의 큰 차별성을 보인다. 사실 그녀 자체의 큰 변화는 느껴지지 않는다.

하지만, 구녹음 음반을 보유한 이들이 다시 아르카나의 음반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어찌보면 상술일지도 모르겠지만, 두 개의 음반이 전혀 겹치는 레퍼토리가 없다는 것이다. 해석의 차이겠지만, 다소 템포가 느리게 느껴져서 어색하게 들리는 부분(RV 444)들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비발디의 성향을 잘 표현했다는 생각이다.

혹시 이들이 디복스(Divox)에서 음반을 냈다면 어떤 느낌으로 와 닿을까. 아르카나의 기술력을 문제삼는 것은 아니지만, 음반을 들으면서 디복스의 섬세함이 사실 좀 그리워지기는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