쾌도난마 한국경제 - 장하준.정승일의 격정대화
장하준 외 지음, 이종태 엮음 / 부키 / 200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난이도 : 말이나 용어가 어렵진 않지만 주제 자체가 쉽지 않기 때문에 고등학생 이하에겐 어려울 듯
흥 미 : 경제 관련 서적임에도 불구하고 대담 형식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전혀 지루하지 않다.
장 점 : 어렵고 딱딱한 주제를 쉽게 풀어쓰고 있다.
추 천 : 경제, 혹은 한국 사회 변화에 관심이 있는 대학생 이상

익히 명성을 들었지만 웬지 어려울 것 같아 읽을 생각이 좀체로 들지 않았다. 그런데 내가 가는 커뮤니티에 장하준교수를 거의 숭배의 수준으로 모시는 사람이 자꾸 장하준교수 이야기를 하길래 도대체 무슨 내용인가 싶어서 결국 주문했다.

일단 생각보다 쉬워서 좋았다. [경제]라는 단어가 주는 부담감, 골치아픔, 잘 모르겠음 등의 고정관념에 얽매일 필요없이 쉽게 읽을 수 있었다. 그리고 편집 자체가 행간이 많이 띄어져 있어서 쉽게 페이지가 넘어간다. (아마 페이지당 글자수가 다른 책의 2/3 정도 밖에 안될 것이다)

전체적인 문제제기는 신선하다. 한국사회에선 여태까지 듣기 힘든 이야기들이었다. 어떻게 보면 고리타분한 도덕주의, 어떻게 보면 재벌 옹호로 비칠 수 있는 논리들을 일관성을 갖고 꾸준히 문제제기한다. 우리 사회에 만연한 신자유주의에 대해 비판하고, 시장의 원리의 허구를 지적하는 점에 대해서는 통쾌함을 느꼈다.

하지만 한편으론 지난 오류를 바로잡기 위해 지나치게 반대편으로 치달려 간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책에서 나온 것처럼 박정희식 관치경제가 그 시기에 갖는 유효성도 있겠지만 분명히 그로 인해 생겨난 폐해들이 존재하고 후발 경제국에서 재벌이 갖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겠지만 부정적인 측면 역시 엄연히 존재한다.

하지만 책에서는 너무 지나칠 정도로 박정희식 경제개발의 장점만을 얘기하고, 재벌의 유의미성만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덧붙여 박정희식 개발과 맑스주의자를 연관지으려 하고, 박정희가 시바스리갈만 마셨다는 얘기를 할 때는 과연 무슨 얘기를 하고 싶은 것일까 하는 의문을 지우기 힘들었다.

이런 저런 의문은 뒤로 하고 어쨌거나 그동안 우리 사회에서 제기되지 않았던 약간은 새로운 목소리가 나왔다는 점에서, 그리고 그것이 신자유주의를 향해 미친듯이 돌진해 가는 지금 이 시기에 생각해 볼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라는 점에서 이 책은 충분히 가치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