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과 뇌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 지극히 주관적인, 그래서 객관적인 생각의 탄생
이상완 지음 / 솔출판사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에 읽게 된 "인공지능과 뇌는 어떻게 생각하는가"는 카이스트의 신경과학-인공지능 융합 센터장이신 이상완교수님이 저술하신 책이다. 이제 인공지능이라는 단어는 모르는 사람이 없으면 섭섭할정도로 많이 언급하고 있는 단어이다. 특히 빅데이터시대와 맞물려 인공지능과 데이터가 활용되지 않는 곳은 찾아보기도 힘들 정도다. 하지만 실제 회사에서 업무하는 분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인공지능이 있는데 이게 왜 안돼?"라고 말하는 C레벨들과 만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혹은 영화등에서 묘사되는 인공지능에 대한 이미지만 떠올리고 불편해하는 사람들도 물론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전공자가 아닌 일반인들에게 인공지능이란 무엇인지, 어떻게 동작하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작성한 책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다.

앞서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서 작성된 책이라고 했는데, 그 예시로 들 수 있는게 바로 이 xor문제이다. xor문제는 머신러닝 입문에서 퍼셉트론을 구현할 때 가장 먼저 마주하게 되는 개념 중 하나이다. 퍼셉트론에서 레이어를 하나 추가하게되면 위의 사진처럼 되어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논리인데, 차원을 하나 추가한다는 것을 생각종이의 추가로 설명하고 있다. 이렇게 친근한 단어를 사용해서 멀게만 느껴지는 인공지능의 개념에 대해서 설명해주는 것이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겠다.


책은 총 7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결코 뇌와 같지 않은 인공지능이 뇌와 같아지기 위해서 어떠한 발전을 해 나가고 있는지에 대해서 차근차근 설명하고 있다. 결론은 "뇌와 닮게 만들고자 한다면, 뇌가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잘 알아야 한다"이다. 도메인에 대한 지식이 풍부해야 더 깊이 있는 분석을 할 수 있다는 이야기와도 일맥상통하는데, 나를 포함해 숫자적으로 더 성능좋은 인공지능을 구현하는데에만 치우쳐져 있는 많은 사람들이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인공지능과 뇌는 어떻게 생각하는가"는 뇌가 작동하는 방식을 탐구하며 인공지능이 발전되어온 발자취를 살펴보는 책이다. 보통의 인공지능과 관련된 서적은 전공자들을 타깃으로 전문적인 단어들을 활용하여 작성되었으나, 인공지능에 관심이 있는 비전공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서 작성이 되어 있다. 인공지능이라는 단어만 들어보고 구동 방식에 대해서 관심이 있었으나 인터넷의 설명은 너무 어려워서 포기했던 분들께 추천한다. 또한 동시에 해당 업무에 종사한다면, 인공지능이라는 것을 더 잘 이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