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만 헤세의 독서의 기술
헤르만 헤세 지음, 김지선 옮김 / 뜨인돌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독일 문학 작가인 헤르만 헤세가 생전에 독서에 관해

기고 했던 글들을 엮어서 만들어진 책이다.

많은 사람들은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을 읽고

그의 작품의 세계로 빠져 든다고 하던데,

난 책을 사러 서점에 갔다가, 우연하게 집어들은

이 책을 서서 조금 읽어 봄으로써 헤르만 헤세와 접하게 되었다.

작가가 아닌 한 독자로써의 헤세의 글은,

생각 없이 단순희 읽은 책의 갯수만 따지며 읽는 자들과,

읽고 나서도, 책과 인생에 대해서 다시 한번 사색 하지 않는 자들을 향해

쓴소리를 날린다.

나의 나이에 비해 꽤나 오랜 시간이 흐른 책이여서 그런지,

정말 유명한 고전들을 재외하고선, 헤르만 헤세가 '서재'에 꽃아놀 만한 가치가

있는 책들을 줄줄희 나열할때는, 거의다 생소한 작품들이 많았다.

살면서 헤세가 말하던 양서들을 나도 느껴가며 살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아무래도 독서를 취미로 생각 하다 보니,

인터넷 상으로 책들을 많이 둘러 보게 되는데,

언제나 느끼는 것이지만, '베스트 셀러'로 팔리는 책들에는

실질적으로 도움 되는 책들은, 장기간 스테디 셀러로 팔리는 것들이

인생의 양식이 되어 주는 책들이지,

단지 단 기간에 여러 사람이 산다고 순식간에 베스트 셀러가 된 책들 중에서,

스테디 셀러 혹은, 서점에서 잠시 서서 이책 저책 읽어보다가 직접 고른 책들보다

좋았던 책은 아직까지 내 경험에선 없었던 것 같다.

독서는 자신을 위해 하는 것이지, 남에게 보여 줄려고 하는게 아니지 않는가?

남들은 다 읽었는데, 자기는 않 읽었다는 생각으로 시작한 독서는

독서가 아니라 자신을 기만하는 행위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헤르만 헤세도, 1년 이상 되지 않는 책은 읽지 말라고 하지 않는가 보다.


오랫동안 책을 읽어 왔던 한 독자가에게서 독서에 대한

짧은 수업을 들은 것 같은 느낌을 주는 책.

붕어빵 찍어내듯이 비슷한 줄거리에, 봇물 터지듯이 엄청난 양으로

쏟아져 나오는 우화식의 자기계발 책 보단,

이런 책들이 진정한 나에게로 한 발자국 더 걷게 만들어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