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탄생 - 다빈치에서 파인먼까지 창조성을 빛낸 사람들의 13가지 생각도구
로버트 루트번스타인 외 지음, 박종성 옮김 / 에코의서재 / 200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각의 탄생 - 다빈치에서 파인먼까지 창조성을 빛낸 사람들의 13가지 생각도구  로버트 루트번스타인 외 지음, 박종성 옮김
레오나르도 다빈치, 아인슈타인, 파블로 피카소, 마르셀 뒤샹, 리처드 파인먼, 버지니아 울프, 제인 구달, 스트라빈스키, 마사 그레이엄 등 역사 속에서 뛰어난 창조성을 발휘한 사람들이 과학, 수학, 의학, 문학, 미술, 무용 등 분야를 막론하고 공통적으로 사용한 13가지 발상법을 생각의 단계별로 정리한 책.


'우와...' 라는 감탄사가 절로 나오게 만든 책이다.

처음엔 상당희 두꺼운 책의 두께를 보고

이걸 포기 안하고 읽을 수 있을까? 라고 생각 했지만,

책을 읽은지 얼마 안되서 그럴 일은 절대 없을 것 이라는 생각과,

인생에 정말 도움이 될 책이라는 것을 직감 할 수 있었다.

삶을 살면서 사람들은 언제나 '생각' 이라는 것을 하면서 살아간다.

하지만, 그 '생각' 들 중에서, 정말 유용한 '생각' 은 몇 가지나 될까?

갈수록 가속화와 커져만 가는 정보화 세상을 살아가는 이 시점에서

우리는 얼마나 쓸모없는 정보와, 그로 인한 유용하지 않은

속히 '잡생각' 을 얼마나 많이 하는가?

많은 사람들은 '잡생각' 으로 머리를 가득 매우고 살아가면서도,

자신의 생각에 대해 재데로 사색해보는 경우는 거의 드문듯 하다.

그런점에서, 이 책은 제대로 된 '생각'이란 무엇인지,

그런 '생각' 이라는 것은 어떤 기준들을 주제로 세분화 될 수 있는지

깔끔하고 정확한 말들로 설명을 해준다.

이 책에서 작가가 말하는, 생각의 13가지 세분화된 주제들은 다음과 같다:
1.관찰-일상의 가치를 재관찰할 때 놀라운 통찰이 찾아온다.
2.형상화-상상 속에서 사물을 그리는 능력이 세계를 재창조한다.
3.추상화-추상화는 중대하고 놀라운 사물의 본질을 드러내는 과정이다.
4.패턴인식-패턴 속의 패턴을 찾아내면 새로운 생각을 할 수 있다.
5.패턴형성-가장 단순한 요소들이 결합해서 복잡한 것을 만든다.
6.유추-유추를 통해 서로 다른 사물이 어떻게 닮았는지 찾아낸다.
7.몸으로 생각하기-몸의 감각은 창의적 사고의 도구가 된다.
8.감정이입-자신이 이해하고 싶은 것이 될 때 가장 완벽한 이해가 가능해진다.
9.차원적 사고-2차원에서 3차원으로 혹은 그 역방향으로 사고의 폭을 넓힌다.
10.모형 만들기-세계를 이해하려면 실제의 본질을 담은 모형을 만들어봐야 한다.
11.놀이-창조적인 통찰은 놀이에서 나온다.
12.변형-사고의 변형은 예기치 않은 발견을 낳는다.
13.통합-느끼는 것과 아는 것의 통합으로 감각의 지평을 확장한다.
 

이 중에서, 내가 평소에 조금이라도 이용하고 잇는 부분에 대해선

신기함과 기쁨을 느낄 수 있었고,

한번도 경험 혹은 시도 해보지 않은 분야들을 이 책을 통해서 만나 보면서,

'생각하기' 라는 것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고 또 배울 수 있었다.

정말 명쾌하게 적힌 책이다.


나의 생각의 과정을 알아간다는 것,

그러면서도 그 과정을 통해 새로운 사실들을 발견할 수 있다는 것,  

그것 자체가 이 책의 장점이며 가치이다.


'생각' 과 '생각하기' 에 대해서 많은 것을 느끼게 해준 책.

나의 생각 방식의 양식이 되어준 이책,

이 책을 읽을 수 있게 되어서 정말 기쁘게 생각한다.


리뷰를 끝내다 보니, 데카르트의 유명한 구절이 생각난다: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인간의 삶에 가치를 부여해주는 '생각'.

생각에 대해 더 알게됨으로써,

나의 삶의 가치를 조금이나마 높힐 수 있게 된듯 하여

정말 기쁘고 뿌듯하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전인성(wholeness)을 위한 사고의 체계화 "생각의 탄생"
    from 風林火山 : 승부사의 이야기 2007-09-25 17:37 
    생각의 탄생 - 로버트 루트번스타인 외 지음, 박종성 옮김/에코의서재 전반적인 리뷰 2007년 9월 25일 읽은 책이다. 430여페이지의 책이었지만 재미있게 읽었다. 스스로 생각하기에 어떤 특정 분야에 관심을 두지 않고 다방면의 지식을 습득하려고 했던 나였기에 여기서 제시하는 부분들이 가슴에 와닿는 부분이 많았다. 그러면서도 한 편으로는 나 스스로도 어떠한 편견을 가지고 있었다는 부분을 느끼게 만드는 책이었다. 어찌보면 나도 사고의 틀을 완전히 깨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