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의 일기 - 나를 위한 가장 작은 성실
김애리 지음 / 카시오페아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른의 일기





늘 생각은 가득한데 꾸준히 적는 게 되지 않는 일기.

매년 연말이면 예쁜 다이어리를 찾아 헤매고, 그마저도 싫으면 불렛저널처럼 나만의 다이어리를 만들어볼까 생각하며 서치를 하다하다 결국은 욕심이 과한 양식을 선택하고는 제풀에 지쳤다. 그래서 초반에만 의욕이 넘치다가 이내 시들해지고 멈춰버린 내 다이어리들. 그렇게 멈춰지고나면 왠지 그 멈춘 시간의 공백이 싫어서 다시 열고싶지 않았다. 그래서 나는 내 일기의 기록을 별로 살피지 않았고, 자연스럽게 안쓰는 쪽이 되어버렸다. 그렇지만 늘 나를 조금씩 성장시키는 일기를 쓰고 싶다는 욕구는 마음 한 켠에 자리잡고 있었다.

어른의 일기 . 왠지 지금까지의 일기와는 다른 일기가 되어야 할 것 같은 마음.

감사일기도 써보고 세 줄 일기도 써보고. 그런데 여전히 나는 꾸준히 쓰는 게 잘 되지 않아서 이 책의 제목을 보자마자 읽고 싶었다. 이 책의 저자는 20년동안 일기를 써오면서 본인이 쌓아온 노하우와 그 누적된 기록들이 준 깨달음을 나누고자 한다길래 어쩌면 나도 어른의 일기를 쓸 수 있게 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로 책을 펼쳤다. 그 일기를 읽다 프롤로그에서 일기쓰기는 소중한 내 삶을 위한 최소한의 노력이고 가장 작은 단위의 성실함이라는 문구를 보고, 그래 나를 위한 최소한의 노력은 할 수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면서 일기가 쓰고싶어졌다.

목차를 들여다보면

어른이지만, 날마다 일기를 씁니다.

어른이기에, 이렇게 일기를 씁니다.

어른이어서, 나를 위해 씁니다.

어른이라서, 일기로 풉니다.

이렇게 되어 있다. 일기를 습관들이는 연습, 그리고 일기를 통해 극복하는 것, 나를 사랑하는 일기쓰기, 그리고 내가 자유로워지는 일기쓰기가 녹아들어있는데, 이 챕터 안에 일기쓰기 노하우와 일기 쓰기에 관해 자주 받는 질문이 적혀있다.


나의 일기쓰기의 시작은 이 일기를 쓰고 플래너로 일정을 관리하면서 무언가 성장하고 뭐라도 되어 있을 것 같고, 다 이루어질 것 같은 느낌의 설득이 아니라, 오히려 '상황에 따라 변해가는 나를 충분히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기적'이라는 표현이 좋았다. 책 속에서 '혼자만의 일기마저 잘 쓰고 싶은 마음과 하찮은 일상을 풀어내서 뭐하나 하는 마음이 시작을 어렵게 만든다'는 문구가 있었는데 딱 그 문구만큼의 마음이라 나는 늘 일기쓸 시간이 충분함에도 나의 일상을 기록하기를 꺼려하며 외면했었구나 싶었다. 가장 개인적인 것에서 나를 살피는 것. 그게 어떤 무언가를 이루지 않더라도 적어도 일기를 쓰면서 왠지 맘에 들지 않는 모습의 나로 가득한 것 같은 생각으로 가득차기보다는 그래도 괜찮은 나로 떠올리며 나를 조금 더 좋아하게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




해마다 세우는 목표 설정. 사실 이 부분을 보면서 뜨끔했었다.

하고 싶은 일과 해야 할 일이 빼곡하게 적혀있지만 사실상 여기저기서 긁어붙인 남들의 목표였다는 것.

내가 다 하고 싶은 것이고 해야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그냥 사람이니까 다들 비슷한 목표를 세우나보다 생각했던 것들이 사실상 진짜 나의 목표가 아닐 수도 있다는 생각과 내 목표를 명확하게 찾아 세우는 것에 대한 노하우를 보며 올 해 내가 세웠던 목표들을 다시 둘러보는데, 역시 내 목표도 why의 누락이었다.

책이 읽기 쉽게 쓰여있고, 공부하는 듯한 책이 아니라 그냥 에세이처럼 잔잔하게 가볍게 읽을 수 있는데 그 글 속에서 공감가는 것들이 꽤 있었다. 단순히 목표에 대한 부분만이 아니라 과거 내가 일기장에 어쩌다 한 번씩 울면서 길게 쏟아내던 내 감정의 글들에 대해 생각했고, 일기장을 늘 끝까지 써야하는데 못쓰니까 안쓰겠다고 접어둔 내 마음에 대해서도 그냥 편히 쓰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했다.

분명 누구도 보지 않았으면 하는 일기이고, 지극히 개인적인 일기인데 나는 마치 누가 보았을 때 창피하지 않게, 그리고 잘 썼다고 생각하는 일기를 쓰고 싶다는 말도 안되는 욕심을 부리고 있었고, 나를 들여다보기 보다는 타인의 시선이나 주변의 환경에 대한 의식을 은연중에 많이 하고 있었구나- 생각했다.

성인이 되어서 아마도 일기를 쓰다 만 적이 있거나 일기를 쓰고 있는 사람이라면 이 어른의 일기 속에서 꽤 여러가지를 공감하게 되고 아하, 하고 생각이 드는 내용도 많을 것이라 생각한다.



결국 일기쓰기는 나를 위한 가장 최선이 무엇인지를 내 안에서 발견해가는 과정이고, 그 모든 답은 내 안에 있음을 알고 솔직해야한다는 것. 내 일기가 고민되던 이유는 나는 정말 솔직하지는 못했기 때문이구나, 다시 한 번 생각했다. 여기에는 짧지만 저자의 일기들이 예시로 되어있는데, 그런 부분들도 함께 읽어보며 고민해도 좋을 것 같다.

꼭 매일이 아니어도 나의 일상을 들여다보고 나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그 속에서 정말 나를 위하고 있는지를 기록하는 습관을 들여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동안의 내가 읽어온 책 속에서 일기는 목표지향적이고 그렇게 되기 위해 참고 견디듯 기록하는 느낌이었다면, 이 책은 남들 얘기 말고 오롯이 나의 일기를 어떻게 풀어낼지, 어떻게 관찰을 할 지에 대해 생각해보게 한다. 그래서 더 개인적인 느낌이고 친근하게 와닿는 느낌.

어른다운 일기를 쓰고 싶어서 선택한 책이었는데, 잘 생각했다 싶다.

무언가 지금 당장 실천할거야! 성공하고 말거야! 하고 다짐을 하게 하는 책이기보다는 노트 한 권 펴놓고 오늘의 일상을 담담하게 적어내려가고 싶은 느낌이 든다. 조금더 자주 내 일상을 들여다보는 일기, 나의 성장과 오롯이 나를 아끼고 나의 세계를 확장해가는 일기를 쓰고 싶은 사람에게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