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학년 1반 34번 - 종잡을 수 없는 사춘기 아이들의 마음을 잡아주는 이야기
언줘 지음, 김하나 옮김 / 명진출판사 / 2008년 12월
평점 :
품절


 

  자유롭게 뛰어놀던 아이가 초등학교란 교육의 틀에 들어가면서 아이들에게 사춘기 아닌 사춘기가 주어지는 것 같다. 주인공도 역시 우리네 아이들처럼 늦잠자고, 씻는 것 싫어하고, 어른들이 하지 말라는 행동을 좋아한다. 주인공이 초등학교에 들어가서 1학년 1반의 34번이 된다. 그래서 주인공은 34이라 불린다.
“어른들은 믿고 있다. 아이들은 학교에 보내야 사회의 일원이 되는 법을 배워 이 세상에 섞여 살 수 있다고. 장래를 분비하려면 스스로를 부단히 단련하는 길밖에 없다고. 하지만 아무도 가르쳐주지 않는다. 34번의 행복이 어디에 있는지. 그것은 34번조차 모르는 일이 되었다. 34번은 자유를 잃었다. 더 이상 행복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본문p27) 
  아이들의 심리가 정말 잘 표현 된 것 같다. 우리는 아이들에게 왜 필요한지 뭐 때문에 해야 하는지 무엇을 해야 하는지 비록 아이들이 이해를 못하더라도 많은 대화로 아이들을 이해 시켜야 하는데 우린 그렇지 못했던 것 같다. 34번은 피곤하고 지쳐서 스스로 되물음을 한다. 내속의 나와 행복 하느냐, 왜 해야 하는가, 잘 모른다, 난 어리다 하지만 스스로 결론은 낼 수없다. 지친 34번은 학교에서 돌아와도 반겨주는 부모가 없다. 모두 일하신다고 늦게 오신다. 그것이 34번을 위해 어쩔 수 없다고 한다. 34번의 미래를 위해 교육비랑 생활비를 벌어야 한다고 한다. 외로운 34번은 커다란 도랑근처 웅덩이에서 가장 느린 올챙이 한 마리를 병 속에서 키우게 되었다. 이름은 ‘샤오헤이’ 장난감과 다른 자연의 선물 그리고 나만의 비밀스러운 34번의 세상이 되었다. 샤오헤이가 변하는 모습을 생각하며 자기도 어떻게 변할까를 생각하게 되었고, 샤오헤이가 있어 34번은 외롭지 않았다.
  34번은 모범생이 아닌 말썽꾸러기 항상 혼나고 해서 친구도 없었다. 어느날 문득 샤오헤이를 학교에 데려오면 친구들이 생기지 않을까 해서 학교에 데려온다. 34번은 스타가 되었고, 아이들이 좋아하고, 자기들이 가지고 있는 물건들을 가져와 샤오헤이와 바꾸자고 한다. 그러다. 시샘쟁이 친구가 선생님께 고자질해서 벌써고 어른들의 등쌀에 밀려 샤오헤이를 버렸다. 34번 어른들을 이해 못했고, 싫었다. 어른이 되면 내 말이 옳은 것이 될까? “34번은 어른이 싫으면서, 어른이고 싶었다. 34번은 그런 자신이 싫었다.”(본문p89)
  다시 반항아가 되돌아간 34번 그 즈음 새로운 미술선생님의 관심으로 미술대회에 나가 상장을 탔다. 엄마아빠는 무척 기뻐했다. 유명한 화가가 되어라하신다. 주위사람들의 관심이 부담되고, 자유를 빼앗기는 것 같아서 피하게 되었고 부모는 실망해서 늦도록 일하는 보람이 없다고 한다. 월말고사가 있던날 34번 학교를 가지 않기로 했다. 그리고, 아징이란 학교에서 잊혀진 친구를 찾아가 가지 말라는 곳 숲 속 깊은 곳으로 놀러간다. 그날 샤오헤이를 다시 만났고, 앞다리가 나왔다. 34번는 감격해서 눈물이 날 뻔했다. 그날 행복했고, 둘은 그 숲을 ‘비밀기지’라 부르기로 했다. 내일 다시 만나기로 하고 아징과 헤여 졌다 그것이 아징과의 마지막이 될지도 모르고.... 아징은 부모의 매를 피해 달아나다 사고를 당하고, 34번은 자유를 누린 대가로 부모에게 맞고 또 맞았다.숲을 다녀간 대가로 아징을 잃고, 34번은 세상이 무서웠다. 학교에서 문제아가 되었고, 왕따가 된 34번은 어느 날 또 한번 뛰쳐나가 숲으로 간다. 꿈에서 아징과 샤오헤이와 행복해 한다. 눈을 떴을때 올챙이는 없고, 개구리가 되어 어디론가 가고 없다. 그때 낮은 목소리의 나로부터 “넌 어린지 어리지 않은지 힌트를 줄게 누구를 탓하고 있니?” “아니 난 아무도 탓하지 않아”, “그럼 넌 어리지 않아, 탓하는 동안 넌 성장했고, 이제 더 시상 어리지 않아” 라고.... 갑자기 엄마가 보고 싶어져 눈물이 났다. 누가 볼까봐 손등으로 눈물을 쓱 닦았다. 저녁노을이 아이의 몸을 따뜻하게 감쌌다.(본문p207) 
  읽으면서, 어릴적 내 모습을 돌아보게 되었고, 내 아이들도 그랬을까 하는 안타까움, 창밖에 가방 메고 학원가는 아이들을 보면서 가슴이 아려왔다. 정말 아이들의 맘을 잘 표현한 책이였다. 간결한 글, 아기자기한 그림들, 또한 옛날 우리들의 모습들을 사진과 그림으로 삽입했고, 영어로 된 1학년 1반 34번이 부록으로 나와 있다. 몇 번을 읽어도 너무 행복한 책 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