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을 캐는 시간 서해문집 청소년문학 12
윤혜숙 지음 / 서해문집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어학회를 중심으로 한 우리 말과 글을 지키는 것이 또 하나의 독립운동이라는 신념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처음 책을 접했을 때, 영화 <말모이>가 생각났다. <말모이>의 청소년판이라고 할까. 조선어학회는 <조선어 사전>을 편찬하기 위한 활동 중 하나로 각 지방의 사투리를 모은다. ‘시골말 캐기운동은 일반인도 많은 도움을 주는데 그 중 배제고 문예반 아이들의 활동을 그려낸다.

박선생이 문예반 학생들을 의도적으로 각 지방의 아이들로 뽑고, 방학을 이용해 사투리를 채집하게 한다. 더불어 상록수 활동과 야학당 활동, 일본의 감시를 피해 조선어학회의 중요 원고들을 순사부장의 집 항아리에 숨기고, 그것을 지키기 위한 사투도 벌어진다.

 

일본인 여학생 노리코의 한국말 사랑이 뜻밖이었다. 단순한 호기심이 아닌 시를 사랑하고, 조선 문학을 공부하고 싶다는 마음이 순수했다. 마치무라 교수의 일본어의 어원이 조선말에 있고, 다수의 일본어와 제주도 사투리가 비슷하고 억양은 경상도 말과 유사하다는 부분은 고개가 절로 끄덕여졌다. 정말 그렇구나. 수많은 문화가 백제에서, 조선에서 건너갔으니 말도 또한 그럴 것이다.

 

김원봉, 이상, 백석, 김소월, 정지용, 주시경. 최현배, 이극로 등의 인물이 반가웠는데 스케치하듯 지나가서 아쉬웠다. 소작농의 아들로 출세를 위해 고군분투하던 민위의 변화된 모습도 믿음직스러웠지만, 순사부장의 아들로 연애 시를 쓰기 위해 문예부에 들어왔던 규태의 생생한 캐릭터가 좋았다. 원고들을 지키기 위한 규태 새어머니의 모습은 우리 글과 말을 지키기 위해 조선 각지에서 사투리를 보내는 마음과 같을 것이다.

화자 구분이 이루어지지 않은 대화가 중간중간 가독성을 떨어뜨리는 게 아쉬웠다.

어른들 뿐 아니라, 청소년도 아이들도 모두가 조선의 말과 글을 지키고, 독립을 위한 작은 몸짓이나마 머뭇거리지 않았기에 오늘날 우리가 우리 말과 글로 살 수 있음에 감사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