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과학자를 위한 반도체 이야기 어린 과학자를 위한 시리즈 3
박열음 지음, 홍성지 그림 / 봄나무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 과학자를 위한 반도체 이야기

반도체하면 굉장히 멀게 느껴지지만 생각보다 많은 곳에 쓰이면서 나와 함께하고 있지요.

과학에 대한 큰 흥미가 있는 아이는 아니지만, 생활 속 반도체에 대해 알려주면 낯설지 않고

살짝 재미있어 할 것도 같아서 이 책을 만나게 되었습니다.​

 

반도체가 쓰이기 이전에 사용되었던 진공관부터

반도체의 원료와 반도체 칩을 만드는 과정, 반도체의 종류와 쓰임세에 대해 알 수 있는데요.

특히 발전할 반도체의 모습을 상상하게 하고 있어서 과학에 흥미가 있는 아이라면 특히나 더 읽기 좋은 책이랍니다.


반도체와  미래 제일 마지막 부분은 반도체 강국 대한민국. 그렇죠. 우리는 반도체 강국이죠.

 

진공관 얘기는 많이 들어봤어요. 저도 뭐 과학을 좋아하는 편은 아니라서

진공관에 대해 자세히 아는 편은 아닌데요.

예전에 반도체를 사용하기 전에 전기 신호를 사용하기 위해 진공관을 썼다고 하네요. 

어른의 엄지손가락만한 크기였던 진공관, 계산을 위해서는 진공관을 연결해 사용해야 했는데요.

진공관이 방 하나를 꽉 채울만큼 필요했다고도 해요. 

불편해 불편해를 외치다 그 단점을 극복하고 발명된 것이 바로 반도체인데요.

반도체롤 이용해 처음 만든 물건이 트랜지스터. 진공관처럼 전기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어요.

트랜지스터는 작은 사이즈, 내구성, 값싸고 만들기도 쉬워서

전자 제품의 가격이 그 덕분에 저렴해지고 생산량도 많아져 누구나 전자제품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고 하네요.

당연히 사람들의 삶도 편해지게 되었고요.


최첨단 기구 뿐만 아니라 생활 곳곳에서 쓰이고 있는 반도체.

만약 사라지면 전화도 못하고 에어컨, 냉장고 작동도 못하겠지요.

게다가 신호등도 켜지지 않고 병원에도 문제가 생길거에요.


발전하고 있는 반도체와 함께 나아지고 있는 우리의 생활.

당연히 우리의 미래도 달라지겠지요.

반도체에 대해 알고 싶은 어린이들은

어린 과학자를 위한 반도체 이야기를 꼭 읽어보길 바라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