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얼굴의 에너지, 원자력 - 에너지 너랑 나랑 더불어학교 13
김성호 지음, 전진경 그림 / 길벗스쿨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 길벗스쿨 두 얼굴의 에너지 원자력
원자력. 우리에게 필요한 에너지이긴 하지만 언제나 위험성을 안고 있는 에너지기도 한대요.
얼마 전 경주에서 지진이 났을 때 사람들이 가장 먼저 걱정한 것도 바로
고리, 월성 원전이었고, 경주 방폐장이었어요.

두 얼굴의 에너지, 원자력. 원자력은 무엇이고, 어떻게 원자력이 생겨났는지
그리고 발전했는지에 관한 내용을 아주 충실하게 잘 담아내고 있는데요.
무엇보다 더 이 책이 마음에 드는 것은 원자력 찬성과 원자력 반대의 주장을 굉장히
균형있게 다루어주고 있다는 사실이에요.
폭넓은 시각으로 원자력을 다루어주고 있는 두 얼굴의 에너지, 원자력.
원자력에 대한 이해 뿐만 아니라 아이가 원전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주는 것 같아 좋은 책이더라고요.

 

 우리는 2011년 일본 후쿠시마의 원전 사고를 잊을 수 없어요.
아직도 후쿠시마에서 나온 것들은 좀 멀리한다든가,
일본이라하면 원전사고와 방사능이 떠오르니까 말이에요.

 

후쿠시마에서 날아온 재앙, 원자력 발전소이야기, 방사능,
그리고 두 얼굴을 가진 원자력에너지에 관한 내용까지.
원자력의 미래와 우리의 선택은 어때야하는지도 이 책을 통해 한 번 생각해볼 수 있게 되었답니다.

우리나라도 원자력 발전소가 제법 많아요.
원전 숫자로는 세계 6위 이고, 밀집도로는 세계 1위인데요.
경주 지진 이후 원전에 대한 두려움이 조금 더 커진 것은 사실입니다.

우리나라의 원자력발전소는 오래 되기도 했지만,
흔히들 얘기하는 원전마피아. 바로 정치인과 정부관계자, 그리고 원전 관계자들 사이의
뒷거래가 우리나라에도 있을텐데요.
원전부품납품비리부터 시작해서 원전불량부품까지
가슴을 쓰러내릴 만한 위험천만한 뒷거래들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얼마 전엔 출입통제구역에서 차단문 개방 경고음이 2주간 8천번이나 울렸다는 기사를 봤거든요.
이나라 진짜 원전으로부터 안전한가...계속 의문을 갖게 되더라고요.

고장과 문제. 이제는 지진까지 겹치면서 원전을 계속 돌려야하는지 멈춰야하는지,
아니 원전 자체에 대한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닌데요.

 

우리가 일단 가장 걱정하는 건 바로 원전 사고로 인한 방사능 누출이에요.
근데 방사능. 원전에서 누출된 것이 아니더라도
우리는 알게 모르게 방사선에 노출되어 살아고 있다고 하지요. 바로 자연 방사선 때문이에요.
그렇다면 방사선을 어느 정도까지 허용해야 안전한지, 그게 중요한 일이 되겠네요.

원자력은 항상 경제적이며 친환경 에너지라는 모토를 갖고 있지만,
사실은 세계대전과 국제 관계에 얽혀있는 원자력의 역사가 따로 있지요.
20세기의 새로운 에너지원이된 우라늄. 우라늄은 에너지가 아닌 무기로 사용이 되었는데
그것이 바로 원자폭탄이랍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히로시마 원폭투하로 인해 핵무기의 위험성이 커졌지만
강대국들은 너도나도 핵무기 개발을 시작했어요.
국제원자력기구나 핵확산금지조약도 이때문에 나오게 된 것이지요.
우리나라는 핵확산금지조약에 가입했지만 북한은 2003년 탈퇴를 했어요.
그리고는 핵무기를 만들었지요.

이산화탄소를 내뿜지 않아 친환경 에너지라 불리우는 원자력.
하지만 원전을 지을 때, 우라늄을 갖기 위해 들어가는 전기,
두꺼운 외벽과 방폐장을 지을 때 들어가는 시멘트,
우라늄을 뽑아낸 나머지 잔여물인 슬러지들의 방사선 오염을 생각하면
절대 깨끗한 친환경 에너지가 아니지요.
오염된 환경을 복구하는데엔 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이에요.

소련 체르노빌 원전 사고, 그리고 후쿠시마의 원전 사고.
안전한 원자력 발전소는 세상에 존재하지 않지요.

우리나라만 해도 밀양 시민들의 송전탑 반대, 경주 방폐장 문제, 그리고 위에서 잠깐 언급했던
원전납품비리까지 항상 원전은 뜨거운 이슈를 몰고 다니는 에너지라 볼 수 있겠어요.
게다가 경주지진으로 인해 원자력 문제가 이젠 결코 남의 일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지요.

원자력으로 인해 우리나라는 세계에 원자로를 수출하는 원전 강대국이 되었지만,
노후된 원전을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한 고민과 함께 미래를 걱정해야해요.
신재생 에너지의 개발이 바로 그 답인데요.

두 얼굴의 에너지, 원자력을 읽으며 원자력의 장단점은 물론
찬반의 주장을 읽으며 원전에 대해 다시 생각해볼 수 있는 아주 좋은 기회를 갖게 되었답니다.
원전 관련 용어와 개념은 당연히 어려울 수 밖에 없을텐데요.
그림과 도표, 사진으로 내용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었고요.
초등고학년부터 원전에 대해 좀 더 쉽게 알고싶어하는 어른들이 읽기에도 부담이 없는 책이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