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최고야! 북극곰 무지개 그림책 71
토미 드 파올라 지음, 이순영 옮김 / 북극곰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산책을 하거나 줄넘기를 하고, 책 읽기와 그림 그리기를 좋아합니다. 종이 인형 만들기와 여러 가지 옷 입어보기도 좋아하고 영화배우처럼 노래하고 춤을 추는 것을 좋아합니다. 대부분의 남자아이들이 좋아하는 공놀이는 싫어했어요. 아빠는 이런 우리가 못마땅했습니다. 엄마는 우리가 운동을 너무 안 해서 걱정이었지요. 우리가 춤추는 것을 좋아하자 운동 삼아 무용 학원에 보내주었답니다. 우리는 열심히 춤을 연습했지만 남자아이들은 이런 우리를 여자애라고 놀렸답니다. 그래도 우리는 멈추지 않고 열심히 탭댄스를 배웠고 이런 우리의 모습에 친구들도 변하게 됩니다.

남성다움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질문해보게 되는 책입니다.

언제부터 우리는 공을 차고 활동적이면 남성적이고, 조용히 앉아 책을 읽고 얌전하면 여성적이라고 성 역할을 구분 짓게 되었을까요? 각자 성향에 따라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이 있고, 그것을 있는 그대로 존중해 주면 되는데 말이죠. 저희 둘째 아이는 활발하고 공놀이도 좋아하지만 한편으로는 작고 아기자기하고 반짝거리는 것을 좋아해서 여자친구들이 더 많은데요. 저는 그저 아이의 취향일 뿐 한 번도 계집에처럼 논다고 생각해 본 적은 없었어요. 그저 본인이 그런 걸 좋아하는 성향이구나 하고 받아들였을 뿐이죠.

어쩌면 주인공 이름이 '우리'로 번역이 된 이유도 성 역할에 대한 구분 없이 모든 것을 통틀어 우리라고 한 것은 아닐까 생각도 들었습니다. 이 책의 작가인 토미 드파올라가 어릴 적 책을 좋아하는 어머니의 영향을 받아 커서 작가가 돼야겠다고 생각할 만큼 책을 좋아했다고 하는데요. 그가 살던 시대적 배경을 떠올려보면 한창 보수적이던 시대에 작가의 꿈을 꾸던 그가 받았을 상처를 이 책에 그려냈던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시대가 변하고 인식이 변하면서 예전에 비해 역할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지만, 아직도 아이의 성향을 존중해 주지 못하는 부모님들도 많다고 생각해요. 부모님과 아이가 함께 보며 서로를 존중하고 이해하는 법을 생각하고 이야기 나누는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북극곰북클럽으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선물받아 읽고 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