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이를 망치는 과잉육아 - 엄마의 불안을 물건으로 대신하지 마라
킴 존 페인 지음, 노혜숙.이주혜 옮김 / 아침나무 / 2013년 6월
평점 :
절판


 

부모가 이루지 못한 꿈을 아이가 대신 이뤄주길 바라는 마음을 가지게 되면 아이의 능력에 비해 많은것을 바라게 되기도 합니다. 어쩌면 남들보다 훌륭하게 키우고파 다른 아이와의 비교하는 잣대가 과잉육아의 시작이 아닐까 싶네요.

방안 가득 장난감이며 책이 쌓여도 오히려 아이들의 관심은 다른곳에 있을때가 종종 있답니다. 한번 본 장난감은 이곳 저곳 아무렇게 쑤셔 넣고 나중에 찾았을땐 모조리 자기꺼라 여기며 다른 친구들은 건들지도 못하게 때보짓을 하기도 하죠. 내가 이렇게 가르친적이 없었는데 어디서 이런걸 배워왔나 싶기도 할테지만 알려주지 않아도 아이들은 부모의 행동을 그대로 답습하는것 같네요.

최근 아이와 책읽기를 시작하며 책의 권수가 많다고 완벽한게 아니란걸 느끼게 되었답니다. 저도 은근 욕심이 과한편인데 조카들처럼 아이가 책을 좋아할꺼란 생각만 가지고 책의 종류에만 몰두 했던것 같네요. 지금 요맘때의 시기나 수준에 소화할 수 있는 한계치가 있다는걸 쉽게 인정하지 못한거죠.

그래서 이번기회에 자신을 되돌아보는 계기로 삼고자 책을 읽게 되었고 답답한 마음이 조금이나마 해소가 되는것 같네요.

실패의 경험때문인지 책에서 이야기하는 많은 것에 노출시켜준다고 아이들에게 무조건 좋은게 아니다라는 말에 수긍이 갑니다. 한두권을 읽더라도 아이가 자신의 것으로 소화시키고 집중있게 본다는게 더 중요한 관점이라고 생각되네요. 그 다음은 아이가 호기심을 보이며 자연스럽게 새로운것을 찾을때 옆에서 보여주고 들려주고 느껴보게 해주는 서포터가 필요한거겠죠.

육아에서도 아빠와 함께 분담한다면 과잉 육아로 빠질 위험 요소가 적어진다고 하네요. 무덤덤한 남편들도 육아에 참여한다는것이 처음이 어렵겠지만 함께 상의하며 조금씩 실천하고 더불어 완전히 책임지고 할 수 있는 일을 몇가지 정해보는것도 좋은 방법일듯 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