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청약의 모든 것 -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이 선보이는 대한민국 주택청약 바이블
한국부동산원 지음 / 한빛비즈 / 202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주택청약의 모든 것> 서평

한국부동산원 지음

 




 

 

이 책은 주택 청약을 위한 바이블과 같은 책이다. 주택 청약이 왜 생겼는지? 주택 청약이 어떤 사업인지? 주택 청약에서 1순위가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주택 청약 통장이 무엇인지? 등의 다양한 설명이 나와있다. 뿐만 아니라, 주택 청약에서 입주자 모집 공고문과 함께 어떤 것을 집중적으로 봐야하는지도 알려주고 있어서, 그야 말로 주택청약의 정석이 되겠다.

 

 

 

특히, 입자주 모집 공고문은 보기가 힘든데, 초반부에 입주자 모집 공고일, 규칙 적용일자, 규제지역 여부, 택지 유형, 전매제한 및 거주 의무 요건 적용 여부, 거주 요건 충족 유무, 유주택자의 1순위 신청 가능 여부, 청약 일정 등을 살펴보면되고, 중반부에서는 특별공급 유형별 신청 자격 및 당첨자 선정 방법, 일반 공급 신청 자격 및 당첨자 선정 방법, 그리고 후반부에서는 단지 여건 및 주변 시설 관련 유의사항 등을 살펴봐야한다.

 

 

그리고 이 책의 좋은 점은 그 페이지에서 설명하고 있는 내용 옆에 QR 코드가 있어서, 그 QR 코드를 찍으면 바로 청약홈이라는 홈페이지가 떠서 관련된 정보들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후반부에서는 청약을 어떻게 진행하면 되는지, 청약을 진행하는 내용에 대한 캡쳐본도 깔끔하게 나와있어서, 청약이 하고 싶으면 따라하면 되게끔 잘 설명이 되어있다.

 

청약을 진행할 때 이 책을 펴놓고 진행하면 될 것 같다.<주택청약의 모든 것> 서평

 

이 책은 주택 청약을 위한 바이블과 같은 책이다. 주택 청약이 왜 생겼는지? 주택 청약이 어떤 사업인지? 주택 청약에서 1순위가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주택 청약 통장이 무엇인지? 등의 다양한 설명이 나와있다. 뿐만 아니라, 주택 청약에서 입주자 모집 공고문과 함께 어떤 것을 집중적으로 봐야하는지도 알려주고 있어서, 그야 말로 주택청약의 정석이 되겠다.

 

특히, 입자주 모집 공고문은 보기가 힘든데, 초반부에 입주자 모집 공고일, 규칙 적용일자, 규제지역 여부, 택지 유형, 전매제한 및 거주 의무 요건 적용 여부, 거주 요건 충족 유무, 유주택자의 1순위 신청 가능 여부, 청약 일정 등을 살펴보면되고, 중반부에서는 특별공급 유형별 신청 자격 및 당첨자 선정 방법, 일반 공급 신청 자격 및 당첨자 선정 방법, 그리고 후반부에서는 단지 여건 및 주변 시설 관련 유의사항 등을 살펴봐야한다.

 

그리고 이 책의 좋은 점은 그 페이지에서 설명하고 있는 내용 옆에 QR 코드가 있어서, 그 QR 코드를 찍으면 바로 청약홈이라는 홈페이지가 떠서 관련된 정보들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후반부에서는 청약을 어떻게 진행하면 되는지, 청약을 진행하는 내용에 대한 캡쳐본도 깔끔하게 나와있어서, 청약이 하고 싶으면 따라하면 되게끔 잘 설명이 되어있다.

 

청약을 진행할 때 이 책을 펴놓고 진행하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물은 왜 죽는가
고바야시 다케히코 지음, 김진아 옮김 / 허클베리북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물학자가 설명해주는 생물학의 기본과 생물은 왜 죽는가에 대한 설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물은 왜 죽는가
고바야시 다케히코 지음, 김진아 옮김 / 허클베리북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물은 왜 죽는가

고바야시 다케히코 지음

김진아 옮김



 

 

생물은 왜 죽는가라는 책의 제목에 이끌려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생물학자가 바라보는 관점에서생물은 왜 죽는지 궁금하지 않는가?

 

이 책은 생명과학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쓰여진 책이다. 1장에서는 생물은 도대체 왜 탄생했는지, 2장에서는 생물은 도대체 왜 멸종하는지, 3장에서는 생물은 도대체 어떻게 죽는지, 4장에서는 인간은 도대체 어떻게 죽는지, 5장에서는 생물은 도대체 왜 죽는지에 대해서 차근차근 설명하고 있다.

 

처음에 생물이 어떻게 탄생했는지는 생물의 기원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스스로 복제 가능한 DNA의 구조와 특징, RNA로 전사가 일어나는 것, mRNA가 단백질로 번역되는 단백질 합성까지 간단하게 생물학적 지식을 주고 있으며, 천문학적인 지식을 한 방울 떨어뜨려 다른 행성에는 생물이 있을까라는 의문까지 해소시켜준다.

 

“지적 생명체까지는 아니더라도 세균과 같은 단순한 생물이 존재할 수 있는 혹성이 1,000개 정도는 될 것이라고 추정되고 있습니다.”

 

생물이 멸종을 해야, 다른 생물이 번성한다. 이는 공룡의 멸종으로 인간이 현재와 같이 번성할 수 있었다. 환경의 변화는 생물의 적응을 보여주고, 생물의 적응은 진화로 이어진다. 이와 같이 종의 다양성이 생겨왔다.

 

생물이 죽는데는 다양한 이유가 있다. 특히 생쥐는 천적들에게 잡아 먹혀서, 재빨리 움직이고 빠르게 번식하는 능력을 갖추고, 장수에 관련된 기능은 퇴화되었다. 쥐과에 속하더라도 고슴도치는 털이 뾰족해졌고, 비버는 댐을 만드는 능력을 갖도록 진화했고, 이러한 점이 장수할 수 있도록 진화된 것이다. 바로 ‘잡아먹혀서 죽는 방식’에서 ‘수명을 다해서 죽는 방식’으로 바뀌었다는 점이 흥미롭다. 

 

 

이 책은 생명공학 전공자가 읽어도 흥미로운 내용들이 종종 있다. 물론 비전공자가 읽어도 알기 쉽도록 친절하게 설명되어 있다. 한번쯤은 생물이 왜 죽는지, 생물이 어떻게 탄생했는지, 다양한 생물들은 어떤 생활사를 같는지에 대해서 공부해봐도 재미있지 않을까?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과학이슈 하이라이트 Vol.03 건강과 과학 과학이슈 하이라이트 3
과학동아 편집부 지음 / 동아엠앤비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신의 과학을 맛볼 수 있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과학이슈 하이라이트 Vol.03 건강과 과학 과학이슈 하이라이트 3
과학동아 편집부 지음 / 동아엠앤비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과학 기술의 발전 가장 두드러진 발전은 mRNA 백신이다. mRNA 백신 자체의 원리는 간단하다. 우리는 DNA mRNA 합성하고(전사과정) mRNA 단백질을 합성하는(번역) 센트럴도그마(Central Dogma)라는 단백질 합성 과정을 거친다. 과정 중에 항원의 유전자를 코딩한 mRNA 넣어주게 되면, 항원을 합성하여 항원에 우리 몸이 대비할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항원 단백질을 이용한 면역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하지만, 여기서 어떻게 mRNA vaccine 개발할 있었는지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외부의 물질을 우리의 몸은 인식하고, 반응하여 없애도록 설계되었다. 그것이 면역 반응이다. 하지만 이런 백신은 외부의 물질을 인식시켜주는데 뜻을 가진다. 과연 mRNA 백신 자체는 면역 반응에 어떻게 안없어지도록 디자인을 했을까? 그것이 궁금해졌다.

 

과학이슈 하이라이트에서는 아주 간단하게 2000년대 중반 드루 와이즈먼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교수와 커털린 커리코 박사 연구진이 mRNA 분자 하나를 바꾸어서 면역 반역 세포가 공격하지 않았다는 것으로 시도했다고 했다.

 

과연 우리 몸은 어떻게 mRNA 외부 물질으로 인식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 in virtro 상에서 mRNA 합성하면 double strand RNA 생성되는데, 이것이 바로 type I interferon 합성을 촉진시킨다. 여기서 in vitro 합성한 dsRNA HPLC FPLC 거치게 되면 자연스럽게 제거되고 single strand RNA 남도록 정제가 된다고 한다.


 

이것과 더불어 single strand mRNA 항원으로 인식될 있다. 이때 뉴클레오타이드를 변형하는 방법을 취하는데, pseudouridine 1-methylpseudouridine 도입하거나, 이에 국한하지 않고 toll like receptor 7(TLR7)이나 TLR8 기타 선천 면역 센서의 활성화를 방지하도록 디자인을 하였다. 그랬을때, 뉴클레오타이드의 변형과 dsRNA 제거해주는 과정을 거쳤을때 훨씬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확인할 있었다.

 

여기에서 나아가, gene delivery 어떻게 것인가라는 이슈가 있다. 이를 delivery하기 위해 200nm 이하의 파티클을 합성하기도 하는데, 다양한 재료들이 사용된다. Protamine 같은 peptide 사용되기도하고, polysaccharide, cationic polymer, liposome, 그리고 이들의 조합까지 사용하여 gene delivery하는데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다른 흥미로운 점은, 파스를 통해서 약물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우리는 약물을 전달하는 방식이, oral delivery, injection 등의 어떻게 보면 거부감이 있는 전달 방식일 있다. 그리고 매번 먹어야하는 점이라던지, 주기적으로 맞아야하는 약물의 경우에는 깜빡했을때 이후에 겪어야하는 엄청난 후폭풍은 감당하기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약물 전달기술들이 많이 발달하였다. 특히 서서히 약물을 방출하여 약물의 투약 주기를 길게 해주는 점은 아직도 연구 대상이다. 하지만 이렇게 파스를 이용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는지는 처음 알았다. 파스를 통해 약물을 전달하는 방식은 파스에 약물과 흡수 촉진제를 함께 도포하여, 모세혈관으로 약물이 전달되게 해준다. 이때 흡수 촉진제는 지방산, 지방알코올, 계면활성제, 글리콜, 탄화수소처럼 지질성분과 친화력 있고 인체에 안전한 물질로 만들면서, 지질 성분이 세포에 스며들어 세포 사이를 벌리기도 하고, 직접 지질층을 타고 피부를 통과하기도 하여, 약물을 전달한다. 이러한 약물 전달을 통해 다양한 약물이 쉬운 방법으로 전달된다면 의료진과 환자가 모두 부담이 덜될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