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은 왜 죽는가
고바야시 다케히코 지음, 김진아 옮김 / 허클베리북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물은 왜 죽는가

고바야시 다케히코 지음

김진아 옮김



 

 

생물은 왜 죽는가라는 책의 제목에 이끌려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생물학자가 바라보는 관점에서생물은 왜 죽는지 궁금하지 않는가?

 

이 책은 생명과학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쓰여진 책이다. 1장에서는 생물은 도대체 왜 탄생했는지, 2장에서는 생물은 도대체 왜 멸종하는지, 3장에서는 생물은 도대체 어떻게 죽는지, 4장에서는 인간은 도대체 어떻게 죽는지, 5장에서는 생물은 도대체 왜 죽는지에 대해서 차근차근 설명하고 있다.

 

처음에 생물이 어떻게 탄생했는지는 생물의 기원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스스로 복제 가능한 DNA의 구조와 특징, RNA로 전사가 일어나는 것, mRNA가 단백질로 번역되는 단백질 합성까지 간단하게 생물학적 지식을 주고 있으며, 천문학적인 지식을 한 방울 떨어뜨려 다른 행성에는 생물이 있을까라는 의문까지 해소시켜준다.

 

“지적 생명체까지는 아니더라도 세균과 같은 단순한 생물이 존재할 수 있는 혹성이 1,000개 정도는 될 것이라고 추정되고 있습니다.”

 

생물이 멸종을 해야, 다른 생물이 번성한다. 이는 공룡의 멸종으로 인간이 현재와 같이 번성할 수 있었다. 환경의 변화는 생물의 적응을 보여주고, 생물의 적응은 진화로 이어진다. 이와 같이 종의 다양성이 생겨왔다.

 

생물이 죽는데는 다양한 이유가 있다. 특히 생쥐는 천적들에게 잡아 먹혀서, 재빨리 움직이고 빠르게 번식하는 능력을 갖추고, 장수에 관련된 기능은 퇴화되었다. 쥐과에 속하더라도 고슴도치는 털이 뾰족해졌고, 비버는 댐을 만드는 능력을 갖도록 진화했고, 이러한 점이 장수할 수 있도록 진화된 것이다. 바로 ‘잡아먹혀서 죽는 방식’에서 ‘수명을 다해서 죽는 방식’으로 바뀌었다는 점이 흥미롭다. 

 

 

이 책은 생명공학 전공자가 읽어도 흥미로운 내용들이 종종 있다. 물론 비전공자가 읽어도 알기 쉽도록 친절하게 설명되어 있다. 한번쯤은 생물이 왜 죽는지, 생물이 어떻게 탄생했는지, 다양한 생물들은 어떤 생활사를 같는지에 대해서 공부해봐도 재미있지 않을까?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