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 너머로, 지맥(GEMAC) 그래비티 픽션 Gravity Fiction, GF 시리즈 20
전윤호 지음 / 그래비티북스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계 너머로, GEMAC

전윤호 지음

 

경계 너머로, 지맥(GEMAC)

전윤호 저
그래비티북스 | 2022년 08월

 


 

 

GEMAC 이게 뭘까? 하드 SF 장편소설? 이건 어떤 내용일까? 궁금함이 이 책을 읽게 만들었다.

 

이 책의 저자는 전윤호 교수로 현재는 성균관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산학교수로 재직 중이며,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 박사학위를 받아, IT 업계에 30년간 일했다고 한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에 대해서 아주 재미난 시각으로 바라보고, 자신의 상상을 책에 잘 풀어냈다고 생각한다.

 

먼저, 처음에 던졌던 질문에 대해서 해결해보고자 했다. GEMAC은 Genetically-Enhanced Machine-Augmented Chimpanzee의 약자이다. 유전적으로 개량하고 컴퓨터로 지능을 보완한 증강동물로 신텔리전스 (SYNergetic intelligence)가 평택 연구단지에서 연구되어오던 것이다. 우선, 바이오 전공자인 나는 아직 이러한 기술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너무 잘 알고 있지만, Science Fiction인 이 소설에 빠져들게 되었다.

 

하드 SF는 무엇인가? Hard SF는 과학적 사실이나 법칙에 무게를 두고 쓴 과학소설을 말한다. 완전한 공상과학 소설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 소설은 신텔리전스 회사가 평택에 엄청난 기지를 건설해 놓았는데, 이 기지가 의문의 공격을 당하게 된다. 평택에 자기네들 혹은 상위층의 사람들만 잘 살게 만드려고, 기지를 만들었는데, 그 기지가 공격받은 것이다. 이에 신텔리전스는 그 공격에 의한 대한 대응으로 GEMAC을 이용하게 된다. 그러면서 겪게 되는 이야기들, 그리고 회사와 개인간의 갈등들을 담고 있다.

 

GEMAC의 침팬치들은 사람들의 노동 강도를 줄이기 위해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갈등을 통해서 결국 사람을 간접적으로 해치게 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발생한다.

 

그리고 GEMAC 침팬치는 어릴 때부터 칩이 심어지고, 훈련사 (사람) 또한 어릴 때부터 칩이 심어지고, 이 칩을 통해서 침팬치를 조정하게 된다. 이러한 기술 개발이 과연 진정 사람을 위한 것인 것? 일부 사람들의 이기심에 나온 것 아닐까?

이 소설의 흥미로운 점은 이메일 형식이 나온다는 것이다. 이메일이라는 형식을 통해 개인의 생각이 더 극명하게 드러나고, 이메일 형식을 통해 확실히 분위기 전환이 이루어진다.

 

 

전반적으로 흥미로운 SF 소설이고, 한 번쯤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