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의 망치 - 리더·인재·조직을 단단하게 만드는 20개의 망치
김영수 지음 / 창해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더의 망치> 서평

한국사마천학회 김영수 편저


리더, 인재, 조직을 단단하게 만드는 20개의 망치라는 제목을 보고는 리더가 되기 위해서 자신을 망치처럼 단단하게 갈고 닦아야 하는 어려운 과정이 필요하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은 리더가 되기 위해서 실천하면 좋은 20가지의 이야기를 해준다. 중국의 역사와 곁들어서 이야기를 해주는 책이라, 매우 흥미로웠다.



자질론의 명기(드러내는 힘), 위공(인정하는 힘), 납간(받아들이는 힘), 석원(푸는 힘), 남과(끌어안는 힘), 신범(소리 없는 힘), 관계론의 양현(양보의 힘), 성구(갈구하는 힘), 천거(밀어올리는 힘), 적대(진심의 힘), 문병조휼(배려의 힘), 예존(존중의 힘), 수해(세우는 힘), 조직론의 시관(시험의 힘), 과거(시스템의 힘), 고적(공정한 평가의 힘), 포양(칭찬의 힘), 장상(포상의 힘), 경벌(가벼운 벌의 힘), 엄징(엄중한 경고의 힘)이 책에서 설명하는 20가지의 자질이다. 이 책에서도 말한다. 리더는 되기 힘든 것이라고. 이렇게 많은 덕목들을 하나라도 제대로 지키지 못하면 나라가 망하기도 하고, 하나라도 잘 지켜서 나라가 대성하기도 한다.


흥미로웠던 이야기는 장상(포상의 힘)인데, 춘추시대 말기 제나라가 진나라와의 전투이야기이다. 이때 진나라의 대부 조앙이 적을 물리치고 승리하면 상대부에게는 현을, 하대부에게는 군을, 사에게는 10만 무의 땅을, 서인, 공인, 상인에게는 관직을, 노예에게는 자유를, 죄인에게는 사면을 내리겠다고 선포한 것이다. 이렇게 후한 상을 주니, 위기의 상황에서 큰 승리를 거두게 되었다.



또 다른 흥미로운 이야기는, 공을 아랫사람한테 돌렸던 당태종은 신하들과 굉장히 훈훈한 관계를 가지고, 후대에게도 많은 귀감을 주고, 중국 역사를 잘 모르는 나이지만, 많이 들어본 이름이다. 하지만 수 양제는 자신의 능력을 떠벌리길 좋아하여 모든 공적을 자기에게 돌렸고, 이는 곧 농민 봉기가 터져 나라가 망하게 된다. 위공(인정하는 힘)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대목이였다.


각각의 덕목들이 얼마나 중요한지 역사를 통해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삼국지를 미리 읽어봤다면 정말 흥미롭게 정리가 잘 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인은 삼국지를 읽지 않아서, 어떤 왕이 어떤 사람인지는 잘 파악하지 못하고 읽었지만, 중국의 넓은 영토와 많은 사람들, 그리고 그 중 흥했던 왕들의 덕목, 그리고 망했던 왕들의 잘못된 방식들을 배울 수 있어서 좋은 기회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