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의 미숙 창비만화도서관 2
정원 지음 / 창비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해의 미숙.

 

외로운 듯 꼿꼿이 서 있는 표지의 저 아이가

바로 주인공 '미숙'이다.

 

웹툰을 책으로 펴낸 것이라는데,

웹툰은 보지 못했으므로 새로운 만화를 접하는 기분으로

책을 펼쳐 후루룩 읽어 나갔다.

 

읽는 내내 미숙이의 아픈 환경과 아픈 가족들,

아픈 감정들 때문에 마음이 아팠는데

책을 덮고, 뒤표지에 쓰여 있던 황정은 소설가의 추천사를 보고

그제서야 눈물이 핑 돌았다.

많이 인상 깊었던 글이라 전문을 옮겨본다.

 

 

사람들이 쉽게 오해하는 것과 달리 가난의 모습은 홀쭉하지 않다. 가난의 주머니는 불룩하다. 그 주머니엔 이를테면 냄새와 흉터와 눈치와 질병과 자책 같은 것들이 들어 있다. 『올해의 미숙』의 장미숙은 그것을 겪고도 '좋은 것'이 되고자 하는 어른으로 자란다. 나는 이 책을 미숙아, 계란말이 뺏기지 말고 너 먹어, 누가 빼앗아 먹으면 죽여…… 이런 심정으로 읽으면서도 내 것이기도 하고 내게 익숙한 타인의 것이기도 한 미숙함들 때문에 서글프고 부끄러웠다. 『올해의 미숙』에는 장미숙의 미숙함 말고 미숙한 어른들과 아이들이 등장한다. 세상에 이런 사람들이, 이런 일들이 다 있어,라고 생각할 수 있는 사람 말고도, 이 책을 통해 그걸 다시 겪으며 속상해 울 사람들이 있다는 것을 나도 안다. 정원 작가는 장미숙이 본가에서 데리고 나온 개 '절미'의 소식을 전하며 이 이야기를 마무리했고, 독자인 나는 그 마무리가 반갑고 기뻤다. 나와 같은 독자들에게도 그럴 것이라고 나는 믿는다.

_황정은(소설가)

 

그렇다.

나는 세상에 이런 사람들이, 이런 일들이 다 있어,라고 생각할 수 있는 사람이 아닌

이 책을 통해 그걸 다시 겪으며 속상해 우는 사람이었다.

그래서 이 글을 보고(나서야) 눈물이 핑 돌았던 것이다.

 

우리 집은 불화한 가정이었고,

어린 시절과 성인이 된 지금까지도

가족은 내게 여전히 큰 상처이고 슬픔이다.

 

 

물론, 자라나면서 

어린 시절 나에게는 너무나 크고, 전부나 다름없던

가정 외 바깥세상과 사람들을 접하며

그 크기나 거리감이 어느 정도 변화하였지만

여전히 내(우리) 안에는 미숙한, 어린 내가 있다. 

그래서 그렇게 엉엉 울고 싶다거나 떼를 쓰고 싶을 때가

왕왕 찾아오는 것일 테지.

 

어른이라고 미숙하지 않은 것이 아니다.

우리 엄마, 아빠는 부모로서 미숙했고

그 원인을 거슬러 올라가면 충분히 사랑받지 못한

그들의 어린 시절과

역시나 미숙했던 그들의 부모(할머니, 할아버지)가 있다.

 

사실 그래서 더 마음이 아프다.

충분히 어리광 부리고 사랑받지 못해

사실은 무리해서 '웃자랐기' 때문에 이래 된 것일 수도 있겠다 생각하면´•_•`

 

 

아마,

서로가 서로에게 큰 슬픔과 아픔이 된 존재가 우리 가족일 것이다.

(비단, 우리 가족만 해당되는 이야기는 아니겠지만.)

그런데, 또 나를 이만치 슬프거나 아프게 만들 수 있는 존재는

나의 가족, 나의 부모 밖에 없으므로  

그들이야말로 내가 세상에서 가장 사랑하는,

나에게 가장 소중한 존재이다.

 

가장 끄집어 내기 어렵고, 도망치고 싶은 상처(트라우마)를 꺼내어 마주할 때

비로소 치유가 시작된다고 한다.

잘은 모르겠으나 정원 씨의 이 책이

그 과정의 시작을 도와주는 역할을 할 수 있지 않겠나 싶다.

내가 부족한 서평을 쓰기 위해 아주 조금이나마 나의 상처와 아픔을 꺼내 보였듯.

이렇게 치유는 시작되는 것이고,

그 치유를 시작으로 나아갈 것이고,

겨울을 지나 봄이 오는 것일 테다.

매해 미숙하고 또 미숙하지만

재작년보다는 나은 작년의 미숙,

작년보다는 나은 올해의 미숙으로.

계속.

 

 

웹툰의 일부.

 

단지 ​우울증인 줄 알았던 미숙의 언니가 죽을 병에 걸린 것으로 이야기는 시작된다.

(결국 미숙의 언니는 죽고, 그전에 미숙은 시인이었으나 가정폭력을 휘둘렀던 아버지와도 이별한다.)

 

 

 

 

아버지는 점점 폭력적으로 변해 갔다.

물건을 한번 던져 보니 다시 던지는 건 쉬웠을 거고, 이제 던지는 걸로는 성에 차지 않았을 거다.
 

그래도 검정고시는 준비하자.

고등학교는 졸업해야지?

요새는 고등학교 안 나오면 사람 취급도 안 해.

대학 가란 말 안 해.

고등학교만 졸업하자.

 

 

내일 발인이라서 정신없을 거야. 얼른 자자.

언니….

나 왜 때렸어? 언닌 아버지 닮았어.

…미안.

 

 

잊을 만하면 죽을 만큼 맞던 엄마는, 아버지가 죽은 이후로 의미를 잃은 사람처럼 보였다.

티브이를 보면 바보가 된다던 엄마는, 정작 스스로 바보가 됐다. 

 

 

본가는 때마침 철거에 들어갔고, 충치를 긁어내듯 본가의 물건을 모두 버렸다.

굴착기가 본가의 외벽을 헐었다.

엄마는 집에 들어오면서 흉터를 치료하라며 모아 둔 돈 봉투를 내밀었다.

나는 기쁘게 받았다.

 

 

그동안의 일들이 먼 미래처럼 느껴진다.

- Ending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