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원 2 - 요석 그리고 원효
김선우 지음 / 민음사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것은 소설이다.

 

원효와 요석이 사랑을 했는지, 원효가 요석이란 여인을 구원한 것인지 무엇이 진실인지는 모르겠지만, 발원을 읽는 내내 느낄 수 있었던 것은 스님인 원효이든, 스님이 아닌 평범한 인간이었던 소성거사로 불린 원효이든, 원효라는 인간 그자체를 존경하고 사랑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이었다.

  

삶의 순간순간, 원효는 가르침을 얻었고 그것을 행동으로 옮겼다.

 

원효가 최근 궁구하는 바는 불경을 읽고 쓰는 일과 참선 수행에 쓰는 시간 외에도 하루의 절반은 반드시 백성의 삶 속에 있고자 하는 노력이었다. 부처의 말씀은 경전 지식으로서가 아니라 중생 속에서 삶의 방편으로 실현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하기 때문이었다.

 스스로 깨달음의 삶을 살며 동시에 중생들도 깨달음의 삶을 살도록 돕는 두 바퀴 법륜이 함께 움직여야 한다! 스승 혜공은 그것을 온몸으로 보여 주었다. 

 

…여기는 신라입니다. 당나라 장안의 어느 학파가 인가해 준 불교가 아니라 이 땅에는 지금 이 땅의 백성들이 원하는 불교가 필요한 거요!”

 

“내가 궁금한 것은 중국의 현자들이 부처님 말씀을 생활 속에서 어떻게 실천하는가 하는 겁니다. 진리가 삶 속에 구현되는 방식 말이오 … ”

 

온갖 차별 현상이 오직 관념의 조작일 뿐이다. … 이 모든 것이 내 관념이 조작한 것이다. 보라. 부끄럽구나. 해골물은 더럽고 바가지 물은 깨끗하다는 것은 내 관념의 장난일 뿐이지 않은가. … 마음 바깥에 법이 존재하지 않는데 어디로 가서 따로 법을 구하겠는가!

 

“나는 이제야 내 앞의 찰간을 넘어뜨렸소.”

 

“세상이 변했으면 좋겠습니까? 그렇다면 우리가 먼저 그 변화가 되어야 합니다. 나부터 변화해야 합니다!”

 

 

 원효는 누구보다도 민중을 사랑했고, 그들에게 사랑을 주기 위해서 자신이 먼저 변화하고 행동으로 옮겼다. 그리고 민중에게 존경받고 사랑을 받은 스님이었다.

 

 

 그런 그가 사랑했던 여인이 있다.

 

“나는 말이다. 목숨을 바쳐도 좋을 만한 일을 하면서 살 거다. 사랑도 그렇게 할 것이다. 사람으로 태어났으니 말이다.”

 

 하지만 신라 진골 귀족 가문의 여식으로 태어난 요석의 운명은 태어날 때부터 이미 정해진 것이었고, 그녀는 아버지의 뜻에 따라, 아버지의 권력을 위한 정략결혼을 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원효를 지키기 위해, 아미타림의 사람들을 지키기 위해서.

 

 그런 요석에게 원효는 다가갈수 없었다.

 

 김춘추가 요석을 죽이려고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 후, 원효는 그동안 자신이 애써 외면했던 요석을, 사랑하는 그녀를 구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녀에게 편지를 쓴다. 두번째 화살을 맞지 말아라!

 

슬프고 괴로운 일을 당했을 때 충분히 슬퍼하고 괴로워한 후, 빠져나오면 됩니다.

문제는 슬픔과 괴로움 그 자체에 끌려가며 자신 속에 번뇌를 쌓을 때 생깁니다. 슬펀한 후 슬픔을 해방시키지 못하고 슬픔에 사로잡혀 자신을 감옥으로 데려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두 번째 화살에 맞는 겁니다.

첫 번째 화살은 피할 수 없이 맞아도 나의 내부로부터 쏘아진 두 번째 화살은 맞지 말아야 합니다.”

 

  이 편지는 요석의 마음에도 변화를 주었지만, 누군가 이 편지를 읽었다면, 힘이 들고 외로운 누군가가 이 편지를 받게 되었다면, 정말 많은 생각을 하게 하고 깨우침과 많은 용기를 얻을 수 있지 않았을까.  

 

 이후 원효는 요석을 구하기 위해 김춘추와 대면하게 되고, 김춘추의 앞에서 금강삼매경을 강연하는 장면은 정말 영화의 한장면 같았고, 너무 멋있어서 소름이 돋았다. 하지만 한 나라의 왕인 김춘추는 그리 호락호락 하지 않았다. 모든 권력은 백성에게 있다고 말하는 원효와 권력을 가져야하는 김춘추와는 처음부터 맞지 않았던 것이고, 김춘추는 원효가 자신을 위협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결국 김춘추는 자신의 딸을 이용하여 원효와 요석, 둘 다를 떠나게 한다.

 

 그리고 그 후의 원효와 요석의 일상들, 그들은 여전히 서로를 사랑하고, 중생들에게 사랑을 전파하며 살아가고 있다.

 

 <발원> 속의 요석과 원효는 사랑을 할 줄 아는 사람들이었다. 서로를 사랑했고, 왕경지애라는 사랑노래를 사랑했고, 자루 없는 도끼(권력이 없는 백성들을 뜻한다)들을 사랑했다.

 

 누군가를 제대로 사랑할 줄 아는 사람들은 정말로 강하다는 것을, 사람을 바꿀 수 있고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원효를 통해 배울 수 있었다.

 

 <발원>, 이 책은 단순한 원효와 요석의 사랑 얘기 아니었다. 원효의 위대한 가르침이며, 누군가를 구원하는 얘기이고, 누군가가 구원받을 수 있는 얘기였다. 원효는 누구보다 중생들을 사랑했고, 불교의 가르침을 실천했던 스님, 아니 평범하지만 위대한 불교인이었다.  

 

… 부디 소승의 청을 들어주시길 간청하나이다. 저는 일개 승려요, 원효 그는 부처이기 때문입니다. - 의상이 김춘추에게 보낸 편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