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에 시작해도 돈 버는 이야기 - 내 삶에 유연함을 더할 41가지 조언
서미숙 지음 / 베가북스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와 비슷한 세대인 2030세대가 요즘 많이 성공했다는 성공담을 인터넷이나 SNS를 통해 간접적으로 많은 소식을 접한다. 처음에는 신선했고 어떻게 젊은 나이에 이렇게까지 성공할 수 있었을까 싶은 생각에 부럽기도 했다. 그들의 성공 방법을 알고자 끊임없이 그들의 콘텐츠를 보기에 바쁘기도 했다. 하지만 계속 그런 콘텐츠 위주로만 접하자, 어느 순간부터는 지겹거나 혹은 결국 또 다들 비슷비슷한 이야기만 하는 것 같단 생각이 들었다.

그러다가 우연히 <50대에 시작해도 돈 버는 이야기>란 책에 대한 서평단을 모집한다는 글을 보게 됐다. 제목에서부터 이끌렸다. 2030세대가 아닌, 부모님뻘 나이대이신 분의 성공에 대한 책이라니. 이 분은 또 어떻게 성공할 수 있었을까 하는 생각에, 한 번 책을 읽어보고 싶었다. 어느샌가 내 손가락은 서평단 신청을 위해 댓글을 작성하고 있었고 운이 좋게도 서평단에 당첨돼서 책을 읽어본 후 이렇게 서평까지 쓸 수 있게 됐다.

뭐랄까, 뭔가 새로웠다. 우선 부동산이며 기본적인 경제 및 돈에 대한 개념이 거의 없으셨던 분께서, ‘성공’을 위해 무작정 새벽 일찍부터 일어나 책을 읽고 글쓰기를 매일 꾸준히 했다는 것, 그리고 부동산 공부와 그것을 직접 행동으로 실천하며 실행해 옮기는 과정을 묵묵히 담은 내용의 글들이 마음에 와닿았던 것이다. 솔직히 작가님보단 아직 어린 나조차도 새벽 기상은 어려워하는 편인데 말이다. 거기다가 더이상 자식이 꿈을 포기하는 그런 아픈 모습을 보지 않기 위해 끝까지 이악물고 노력한 결과로 ‘성공’이란 것을 거머쥔 모습을 보면서 대단한 분이란 생각이 들었다.

자신을 믿으면 두려움이 없어진다. 두려움이란 무엇인가. 우리가 변화를 시도할 때 고민하는 이유는 ‘이 선택이 진짜 내 인생을 바꿔줄 것’이라고 믿지 못해서이다. 자신을 믿어야 용기가 생겨난다. (27쪽)

항상 나는 나 자신을 믿고 앞으로 나아가야지 마음먹다가도 이내 불쑥, 부정적인 생각이 들어오면 어느샌가 또다시 마음이 흔들리고 나 자신을 믿지 못하고 의심을 품을 때가 많다. 그래서일까. 서미숙 작가님께서 말씀하신 이 문장을 보니 괜히 뜨끔했다. 단순히 두렵다는 이유만으로, 그리고 이 선택이 내 인생을 바꿔줄 수 있다는 걸 믿지 못해서 계속 회피하거나 미루기 바빴다. 하지만, 결국 성공하고 싶다면 그 두려움을 깨고 무언가라도 해야 한다는, 진심어린 조언처럼 들렸다. 더군다나 직접적으로 그 두려움 감정을 이겨내고 성공이란 것에 좀 더 가까워진 인생 스승님이신 작가님의 모습을 보면서, 이 정도면 나도 두려움이란 감정을 떨쳐내고 단순히 생각만 하고 있는 게 아닌, 실제로 행동으로 실천하면 오히려 실패가 아닌 성공으로 한 발짝 다가가는 게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나는 지금 생각하는 내 계획을, 꼭 한 번 해내볼 생각이다. 내가 포기하지 않는 한, 그건 실패한 게 아니니까.

“질문은 뇌를 생각하게 만들며 움직이게 해준다.” (69쪽)

나는 개인적으로 질문이 많다. 때로는 사소한 부분에서도 질문이 많을 때가 있다. 하지만 나는 솔직히 이런 내 모습에 대해서 불만이 있었다. 질문이 많다는 것에 대해서 나 자신부터 긍정적으로 바라보지 않았다. 내가 질문을 할 때마다 긍정적으로 바라봐주는 사람보다 부정적이거나 단순히 귀찮다는 모습을 내비치는 경우를 더 많이 봤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히려 나조차도 질문이 별로 없기를 바랐다.

하지만 작가님의 한 문장이, 내면에서 잠자고 있던 ‘질문하는 자아’를 각성시켜주었다. 그리고 오히려 그렇게 해야 한다고 덧붙이셨다. 그럼으로써 뇌를 움직이게 하고 활성화하는 방법이라고 말이다.

이제는 나는 다시, 끊임없이 질문하는 사람으로 거듭나려 한다. 이게 엉뚱하고 바보같은 질문이라고 생각하더라도 말이다.
혹시 아는가, 그런 질문이 오히려 독창적이고 창의적이라 긍정적인 길로 나를 안내해줄지도.


* 책은 협찬을 받아 솔직하게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