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 괴물 백과 - 신화와 전설 속 110가지 괴물 이야기
류싱 지음, 이지희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10월
평점 :
나가고 있는 책모임에서 다음달 읽을 책이 비히모스(베헤못)니 리바이어던(레비아탄)이니 하는 괴물이름책 많인 쓰신 홉스 평전이었던 터라 괴물이름의 유래에 대해 관심이 생긴 것이 세계 괴물 백과 서평이벤트에 지원하게 된 계기가 되겠습니다. 사실 이러한 괴물이 어떤 이미지의 괴물인지를 파악하는 것 만으로도 그 책이 어떤 분위기의 책일지 떠올리는 상상에 일조하는 터라 이런 전차로 괴물들에 대한 상식은 많이 알아두면 좋을 듯 싶습니다.

사진은 해당 홉스의 서명으로 고등학교 사회시간에 자주 보셨을 레비아탄(리바이어던)사진입니다.
저자는 챕터를 지역과 시대순으로 크게 배열하고 있습니다. 고대근동 신화/ 이집트 신화/그리스 신화/종교 전설/동방 여러 민족 전설/유럽의 전설과 괴이한 일...적고 나니 사실 그러한 분류로 꼭 떨어지지는 않는군요. 워낙 다양한 세계의 다양한 시대의 괴물들을 다루려다 보니 이 점은 어쩔 수 없는 듯 싶습니다.
한 괴물에 할애된 페이지는 삽화포함 짧으면 2장, 길면 6~7장 정도 됩니다. 메이저한 괴물(레비아탄이나 바실리스크와 같은)은 제법 긴 설명이 이어지지만 마이너한 따깨비 거위 같은건 (따깨비 나무에서 태어난다지만 얘는 또 왜 괴물 분류가 된지 모르겠습니다) 불과 2,3장 정도... 의외로 악마의 대명사 메피스토펠레스가 삽화포함 2장밖에 할애되지 않은 사실이 뜻밖이긴 합니다.
그러하니 이 책은 각각의 괴물에 대한 심도깊은 연구를 원하시는 분 보다는 종종 사람들의 책들에 언급되는 괴물들이 대체 어떤 것이며 어떤 배경으로 그 말이 쓰여졌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는 일반인분들의 길잡이용 정도로 쓰시면 적절할 듯 싶습니다. 그런 점에서는 서명과 같이 세계 괴물 '백과'라는 말이 흠잡을데 없는 책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본 서평은 부흥 카페 서평이벤트(https://cafe.naver.com/booheong/198433)에 응하여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