있는 공간, 없는 공간
유정수 지음 / 쌤앤파커스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가 말하는 대한민국 핫플에는 무엇이 있고 무엇이 없는지를 보여주는 책입니다. 죽은 상권을 살리기 위해 어떤 것에 투자해야 하는지, 미래 전망은 어떤지 등을 알아봐야겠죠. 무작정 유행만 따라가기보다는 왜 이런 것들이 유행인지를 알고 분석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있는 공간, 없는 공간이 무엇인가 했더니 표지에도 잘 나오네요. 경험, 세계관, 차원, 원더, 유휴 공간이 있는 곳이 핫플이 됩니다. 그리고 상품, 경계, 유행, 가짜, 정답은 없어야겠죠. 책을 읽어보니 무슨 말인지 잘 이해가 되네요.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사진을 보여주면서 차근차근 설명해 주니 참 재미있습니다.

어떤 매장을 방문했는데 테이블만 빽빽하게 있다면 효율성은 좋겠지만 매력은 없죠. 다시 찾고 싶은 공간으로 만들고 싶다면 유휴 공간에 주목해야 합니다. 유휴 공간이란 포토 스팟과는 다릅니다. 포토 스팟은 고정된 자리에 있고 보통 그 앞에서 사진을 찍어 sns에 올리죠. 유휴 공간은 360도 어디서나 볼 수 있는 공간으로 움직임이 있다면 더 좋습니다. 중정을 활용해 온천물이 끓는 것을 보여주거나 태엽으로 움직이는 말이 건초를 먹는 시늉을 하거나 커다랗고 멋진 나무들이 즐비하면 좋겠죠. 길 입구부터 매장으로 가는 오솔길에 멋진 조명을 설치하는 것도 좋습니다. 이렇게 매장 한가운데의 좋은 자리를 유휴 공간으로 쓰면서 고객이 계속 방문하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유휴 공간은 직접적인 매출을 얻을 수 없어서 낭비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고객은 새로움이 없으면 찾지 않습니다. 높은 층고, 볼거리 등을 제공해 고객의 집보다 좋은 곳으로 만들어야 집에서 나오겠죠.

집과는 달리 상가는 처음 방문한 고객이 대부분입니다. 그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주기 위해서는 고객이 원하는 것에 집중해 그 부분에 투자하고 사진이 잘 나올만한 공간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순한 오브제를 사용한다면 무한 반복하는 방식으로 다소 과함을 보여줘야 처음 방문하는 고객이 새로움을 느낍니다. 그러고 보니 인테리어나 소품 배치가 평범한 곳은 다시 가고 싶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 이유는 새로움이 없기 때문인 것 같네요. 앞으로 매장을 운영하게 된다면 이 책에 나오는 내용을 잘 기억해서 활용하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