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당초 주택설계란 이런 것이야
마스다 스스무 지음, 이지호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젠가 나이가 들어 은퇴를 하게 되면 주택을 지어 조용하게 살고 싶다는 생각을 합니다. 층간 소음에서도 자유롭고 우리 가족의 생활 패턴에 맞춰 지은 집이면 더 애착이 가겠지요. 주택에 사는 지인들이 '이번 집은 이런 점이 불편하니 다음 집은 이렇게 지어야지'라고 말하는 걸 보면 자신에게 맞는 집을 지어서 사는 것에 만족하는 것 같아 부럽습니다. 저도 나중에 주택을 지어 살려면 주택 설계에 대해 조금은 이해해야 할 것 같아 선택한 책입니다.



책 속에는 주택 설계의 거장인 저자가 하나하나 알려주는 꿀팁이 가득하네요. 주택을 설계할 때는 사람이 사는 공간이라는 전제하에 문 설치, 가구 배치 등도 함께 고려해야 하는데요. 사람이 활동할 공간을 확보하고 편리하게 살 수 있도록 배치를 잘 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주택은 잘못 지으면 애물단지가 되기 마련입니다. 주택을 짓는다고 하면 다들 강조하는 부분이 단열, 기밀, 환기, 통기인데요. 저자는 단열과 기밀만 강조하면 환기와 통기에 문제가 생긴다고 합니다. 너무 밀폐된 공간을 만들면 실내 공기 오염과 산소 결핍이 일어나기 때문에 환기와 통기는 중요한데요. 단열 처리를 한 바로 바깥쪽에 통기층을 설치해서 습기를 내보내는 것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저자는 집 전체에 두꺼운 스웨터를 입히기보다 사람이 스웨터를 입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말합니다. 무엇이든 적당해야 균형이 맞겠죠.

이 책에는 주택 설계뿐 아니라 관련된 읽을거리가 많아서 좋았는데요. 집안에 쓰지 않는 물건들을 수납에 활용한다든지, 잘 보이는 곳에 물건들을 걸어둔다든지 하는 팁들은 자원을 절약하고 편리한 생활을 위해 유용하네요. 지하상가의 두 번째 계단을 디딜 때 비틀거리게 된다는 이야기도 재미있었습니다. 첫 번째 계단이 다른 계단과 높이가 다른 이유는 바닥을 계속 보수하기 때문이죠. 그러고 보니 상가의 계단을 내려갈 때 마지막 계단을 밟고 나서 바닥을 밟을 때 높이가 맞지 않다는 생각을 했던 것 같습니다. 사람이 사는 공간을 설계하면서 생각할 수 있는 많은 이야기들이 담긴 책입니다. 더불어 저자의 손그림을 구경하는 재미도 쏠쏠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