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기 전, 일하는 중, 일하고 난 후 - 초격차 성과자들의 터닝포인트
류랑도 지음 / 쌤앤파커스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직장 생활은 혼자 할 수 없습니다. 자신의 일을 잘 해내는 것은 물론이고 동료와 협업도 필요하죠. 또한, 내가 열심히 했다고 해도 수요자인 고객이 원하는 성과가 나오지 않으면 소용이 없습니다. 이런 것들을 종합해 보면 열심히만 일하는 것보다 제대로 일하는 것이 중요하지요. 그렇다면 눈에 보이게 제대로 일하려면 어떤 것을 알아야 하는지 책을 읽으며 잘 배워보겠습니다.



저자는 높은 성과를 내는 '프로성과러'가 되고 싶다면 '프로일잘러+프로어필러'가 되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자기 할 일을 잘 하고 이를 조직에 잘 어필하는 사람이라는 뜻이죠. 직장 생활을 해 보니 일만 잘하는 사람보다는 처세술에 능한 사람이 오래 살아남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자기 할 일을 잘 하면서 상사에게 점수도 잘 따는 사람이 승진을 잘 할 수밖에 없지요. 그래서 제목에 나오는 것처럼 일하기 전, 중, 후의 단계를 꼼꼼하게 챙겨야 합니다.

일하기 전에는 기획, 계획을 해야 하고 일하는 중간에는 캐스케이딩과 협업이 필요하며, 일을 마친 후에는 성과를 평가하고 피드백해야 합니다. 일하기 전에는 과제의 범위를 분석해 구체적으로 계획을 세웁니다. 일하는 중간에는 캐스케이딩이 필요한데 이는 전체 목표를 기간별 세부 목표로 잘게 나누는 것을 말합니다. 자신의 역량을 넘어서는 부분은 협업을 요청해 실행합니다. 일을 마치고 나면 기획한 목표에 대비해 어떤 성과가 있었는지 어떤 점이 유효했고 미진했는지 등을 평가해야 합니다. 상사와 고객이 만족하는 성과가 나와야 프로성과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일을 잘 할 수 있는 시간이나 환경을 분석해 보고 자신의 장단점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한 것 같습니다. 자신의 역량을 정확히 알아야 할 수 있는 일과 없는 일을 구분할 수 있고, 협업도 적절하게 요청할 수 있겠죠. 상사에게 보고를 할 때도 상사가 경영진에게 보고를 할 시간을 고려해 미리 브리핑하고 중간중간 상황을 보고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는 처세술이라기보다는 상사를 이해하기 때문인데요. 자신이 그 자리에 있다면 어떤 부하 직원을 마음에 들어 할지 생각해 본다면 답이 나오겠지요. 직장 생활을 할 때 참고하기 좋은 책이네요. 정해진 시간 내에 최대한의 성과를 내기 위한 세부적인 팁이 많아 실용적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