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은 거짓말하지 않는다 - 기본을 넘어 고수의 스킬까지
김형선 지음 / 청년정신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땅은 거짓말하지 않는다'라는 말은 예전부터 익히 들었는데요. 농경사회 시절에는 씨앗을 심은 대로 거둔다는 뜻이었을 것이고, 지금은 투자에 대한 개념으로도 쓰는데요. 땅은 매수도, 매도도 쉽지 않기에 장기투자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합니다. 그러다 보니 제대로 된 정보를 얻기도 힘든데요. 책표지에 '기본을 넘어 고수의 스킬까지'라는 문구가 눈에 들어오네요. 토지 투자의 기본은 알고 싶어 선택한 책입니다.



토지는 한정된 자원입니다. 땅은 모양도, 가격도, 미래가치도 다르다 보니 가격도 천차만별입니다. 우리나라에는 땅으로 갑자기 부자가 된 사람들이 많다 보니 땅 투자는 여전히 인기가 많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좋은 땅을 갖고 싶어 하지만 정작 갖고 싶어 하는 가치 있는 땅은 매물로 나오지도 않죠. 그러다 보니 기획 부동산에 속아 쓸모없는 땅을 사기도 하고, 지금은 좋은 땅이라고 비싼 값에 사지만 나중에는 가치가 떨어져 후회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좋은 땅을 어떻게 살 수 있을까요. 파는 시기도 중요한데 초보자가 그 시점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시세를 잘 알 수 있는 아파트나 건물과는 달리 땅은 거래 빈도가 적고, 장기적으로 가지고 가는 경우가 많기에 시세를 알기도 어렵습니다. 대부분 매도자와 매수자 사이의 흥정을 통해 매매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여기서 가격이 결정되죠.

이미 호재가 난 지역은 땅값이 많이 올랐기 때문에 매수자가 들어가기 어렵습니다. 저자는 미래 가치가 좋은 땅을 선점하라고 하는데요. 손품, 발품을 팔아 조사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평소에 경제 관련 뉴스에 관심을 가지고, 도시기본계획이나 개발계획, 산업단지개발 등을 눈여겨봅니다. 부동산 관련 동호회, 카페 등에서 전문가와 인맥 쌓기도 추천하네요.

땅 투자를 위해 토지 공부 서류는 꼭 챙겨 봐야 하는데요. 토지이용계획확인원, 토지대장, 지적도, 개별공시지가확인서, 부동산등기부 등을 자세하게 봐야 합니다. 계약을 하는 날과 잔금을 치르는 날에 해당 관청에서 등기부등본을 발급받아보고 확인도 해야 하는데요. 계약서를 쓸 때는 '소유권이전등기가 완료되기 전에 다른 권리가 설정될 경우 계약은 파기되고 그동안 지불한 원금은 반환한다'라는 조항도 삽입해야 합니다. 사려는 땅에 건물이 있다면 매도자가 해결한다는 조항도 명시하고, 실제 면적과 서류상 면적이 다를 경우 차액을 부담하라는 조항도 필요합니다.

땅을 사기 위해서는 알아야 할 것도 많고, 구입한 땅의 가치를 높이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런 과정들이 복잡해 보이지만 꾸준히 공부하고 임장을 자주 다니면서 안목을 높인다면 못할 것도 없겠죠. 책 뒤편에는 토지 투자 성공 사례, 실패 사례가 나옵니다.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하는지 쉽게 알 수 있어 잘 읽었습니다. 저자의 토지 투자, 현장 경험을 풀어낸 책이라 초보자들에게도 많은 도움이 되는 내용이 많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