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관 - 상 - 왕을 기록하는 여인
박준수 지음, 홍성덕 사진 / 청년정신 / 2015년 11월
평점 :
역사에서 진실을 가릴 수 없다
역사학은 '달면 삼키고 쓰면 내뱉는 학문이 아니다. 사실이 있으면 쓰고, 지도자의 공과는 엄정하게
평가한다. 이것이 사관의 정신이고, 사마천이 궁형의 치욕을 당하면서 세운 기초다'
여기서 사관이 무엇인지 궁금해서 (대충적인 의미는 알고있지만) 확실한 사전적 의미가 알고싶어서 네어버 사전을
찾아보았다
사관 - 역사의 편찬을 맡아 초고를 쓰는 일을 맡아보던 벼슬, 또는 그런 벼슬아치
예문관 검열 또는 승정원의 주서를 이른다.
역사의 편찬을 맡아 초고를 쓰는 사람
그렇다면 거짓이 없어야하고 또 어느쪽으로도 치우치지 않고 중심을 확실히 잡고 있어야하는..
붓 한자루에 목숨을 거는 사람이었다. 그래서 그들의 책임감있는 행동에 자신의 목숨을 걸었기에
조선왕조실록이라는 책이 지금까지 전해질 수 있었던 것이었다.
이 책 사관은 이런 사관들 사이에 남장을 한 한 여인이 여사로서 예문관에 들어가 어떤 교육을 받게되고 계유정난의 기록인 (정난일기)에 얽힌 사건을 흥미롭게 쓴 책이다

감쪽같이 사라졌다 나타나면서 궁궐은 알 수 없는 긴장이 감돌게 된다. 한명회를 비롯한 공신과 수양사이에 서서히 보이는 의심과 갈등 그리고 아무도 알 수 없는 하지만 수양 입장에서 가장 무서운 내용일 수 있는 가장사초를 찾는 수양과 가노 막동 패거리..칼부림과 행방불명....
역사에 관심이 많아서 한국사 시험을 준비도했었고 시험도 봤었던 나로서는 아주 흥미로운 내용이어서 즐겁게 읽고있었지만 한가지 안타까운 것은 서은후와 윤세주의 사랑이야기.....
집중력에 방해가 될 줄 몰랐다. 안타깝고 사연 가득한 이 남녀의 애뜻하고 절절한 사랑이야기가 너무 개연성이 없어서 공신들의 은밀한 대화나 사건 전개가 좀 빠르게 이어지나했는데...어김없이 나타나는 어설픈 사랑이야기에 방해받게 될줄이야....차라리 남녀관계가 아닌 남녀관계여도 좀더 미스터리하고 스릴러있게 표현했더라면 좀더 심장 쫄깃하고 시간 가는줄 모르고 읽었을텐데 집중력을 흐트러지게 하는 어설픈 여주와 남주..그리고 말도안되는 기생까지....억지스러운 인연은 조금 많은 아쉬움을 주었다.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라는 말이있지만 언젠가 밝혀질 진실과 사람들의 기록으로 목숨걸고 지켜진 진실이 너무나 감사했다
자신이 어떻게 기록이 될지 수양은 궁금했을것이다. 단종의 선위와 죽음을 정당화하고 역사속에 성군으로 남고 싶었겠지만 미래에 살고있는 내가 수양이 어떻게 임금이 되었는지 자세히 알고있다는 것은 제대로 역사의 진실을 공부했고 판단했다는 것일것이다.
은후에게 세주가 이렇게 말했다
"어차피 역사란, 마지막에 살아남은 자들이 쓰지..하지만 그것을 평가하는 것은 그들이 아니라 후인들이라네. 후인들은 그리 어리석지 않을 것이네. 그들이 아무리 역사를 왜곡할지라도 후인들은 반드시 진실과 거짓을 가려내어 엄중한 평가를 내릴 것일세.."
그러므로 우리는 더욱 역사의 진실을 찾고자 노력을해야할것이다.
세주의 말.....어느 나라에게 들려주고싶다......진심으로...좀 깨우치라고.....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