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만한 아이의 특별한 잠재력 - 뇌과학이 알려주는 ADHD 아이 크게 키우는 법
이슬기 지음 / 길벗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으면서 저희 삼남매가 눈에 아른거리는건 뭘까요.

그거 아시나요? 우리나라는 미국교육과 매우 유사하다는 점이요. 그건 역사적인 사건과 공통점이 많아서 라고 합니다.

빠른 사회발전과 경제발전을 위해서는 획일적인 교육을 통해 똑같은 행동을 하는 사람들이 필요했다고 해요.

 시계가 있다고 합시다. 그런데 시계가 고장이 나서 일을 처리하는데 시간이 걸리면 문제가 되잖아요. 그러면 필요한 것은 시계의 부품이겠죠? 이 동일한 부품이 많다면? 빠른 시일 내로 고치기도 쉽고, 일의 효율성도 높아지게 됩니다.

그렇듯이 사람도 똑같은 사람으로 교육을 시키고 행동하며, 빨리빨리 사회의 한 조직 구성원에 들어가게 되었던 것이죠.

우리나라 역시 6.25전쟁 후 폐허가 된 나라에서 농업 만으로는 사회 전반적인 개혁을 일으키기 어려웠어요.

그래서 새마을 운동을 통해 농사 대신 공장에서 일을 하기 시작하고 초등,중등,고등의 획일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기 시작합니다.

빠른 사회발전을 위해 "빨리빨리"라는 말과 "획일적인 교육"은 당연한 것이였을 것 같아요.

그런데 말입니다.

가기 다른 특성과 기질을 가진 사람을 한 틀에 넣고 만들어간다고 과연 로봇처럼 같은 사람이 나올까요?

이에 대한 답이 존재가 산만한 아이 같다는 생각이 들었답니다.

  [ 산만한 아이의 특별한 잠재력 ] 저자는 이렇게 말을 합니다.

학교라는 시스템은 개인적 차이를 모두 맞춰주기 힘들기 때문에 결국 부모가 아이에게 맞는 특별한 서비스를 찾아줘야 한다. [p50]

4차 산업혁명을 앞두고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지금 공교육보단,
개개인의 특기와 장점을 적재적소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연습된 창의적인 아이들의 역할이 늘어날 것이다.

창의성은 새로운 것을 시도해보고자 하는 호기심이자 행동력입니다.
그래서 정해진 규칙을 따르는 것보다
호기심과 행동이 앞서는 산만한 아이들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거나 시도하는데 훨씬 빠른 경향을 보일 수 있습니다. [p55]

그렇다면, 부모는 아이를 사회에 적응시키면서, 산만한 아이의 특별한 잠재력을 이끌어 낼 수 있을까요?

손쉬운 체벌은 독이 된다

체벌이 반복되면 문제가 줄어들기는 커녕 점점 더 심해지는 양상을 보인다.
체벌에 적응하기 때문 입니다.
체벌 받는 입장에서는 부모에게 혼날 때 자기 행동을 되돌아보고 반성하기보다,
이 두렵고 무서운 상황이 빨리 끝났으면 좋겠다는 생각만 듭니다.

반면, 체벌하는 입장에서는 아이가 체벌에 익숙해지면 강도가 점점 세집니다.

그렇기때문에 지적과 체벌은 효과가 없습니다.

산만한 아이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아이의 속마음을 알아주는 것 입니다.

아이에게 맞는 양육방식은 분명 존재한다!!

불안한 양육은 일관성 없는 훈육이 될 가능성이 크고, 그 과정이 반복되면 아이와 부모의 관계는 잘못된 습관으로 고착 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반드시 일관된 양육 원칙과 확신이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불안을 없애는 방법은 뭐가있을까요?
이는 불안의 원인을 찾는것 부터 시작하고
아이의 다양한 요소들에 맞게 적용해야하며, 부모만이 이를 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아이와 씨름을 하다 지친 부모님께 선물을 하면 좋을 것 같아요.
좀 더 다양하게 아이와 부모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만들어주면서 불안감을 낮춰 줄 수 있는 방법이 제시 되어 있거든요.

그리고 부모에 대한 역할에 대해 정의를 내려주는 책이랍니다.

부모는 아이가 문제를 직면했을때, 문제의 해답을 찾아주는 것이 아니라, 함께 찾도록 도와주는 지지자의 역할이라는 것을 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