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다려, 오백원! 단비어린이 문학
우성희 지음, 노은주 그림 / 단비어린이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은 누구나 이별을 한다.
이별을 준비하는 사람도 있고 이별 후에 이를 이겨내는 사람도 있고, 아님 이별을 묵묵히 담아놓는 사람도 있다. 어떤 이는 이별을 이기기 위해 이별의 원인을 자신이 아니라, 타인으로 돌려 화를 내는 이도 있다.

다들 이별을 대하는 자세가 각기 다르기에 다양한 이야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 기다려, 오백원 ] 역시 이별을 대하는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4편의 이야기의 공통점은 이별을 대하는 사람이 우리 어린아이들 이라는 점이다.

첫번째 이야기는 이별을 준비하는 어른과 어린 한 소년, 그리고 이별 후에 남겨진 반려동물과의 이야기를 다루었다.
어린 소년은 옆집 할머니와 그 할머니의 반려견과의 이별에는 관심이 없었을 것이다.
아니, 본인의 일이라 생각치 않았기에 이별에 대해 생각을 안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어린아이 시점에서 잠시동안 옆집 할머니의 반려견과 시간을 보내고, 산책을 하다 반려견인 오백원이 없어지는 소동으로 어린 소년은 이별에 대해 간접적으로 경험을 했을 것이다.

그리고, 두번째 이야기와 세번째 이야기는 이별을 한 후 남겨진 어린 소녀의 이야기이다. 다행히 이 두 소녀들 옆에는 그들을 묵묵히 기다려주고 지켜주는 어른들이 있어서 이별에 대해 아픈 마음보단 성숙함을 느꼈다고나 할까?

특히 세번째 소녀의 경우, 돌아가신 엄마와 새엄마가 될 후보자인 떡볶이집 아줌마와 능청스런 아빠 사이에서 이별 후 이별을 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어떻게 보면 어렸을 때 엄마가 돌아가셨기에 진정한 이별을 했다기 보다는 그리움을 간직하고 있었으리라.
그런데 아빠가 재혼을 생각하면서 아이는 돌아가신 엄마와 이별을 준비 했을 것이다. 난 당신을 이제는 보내드릴께요. 사랑해요. 좀 더 성숙해져서 만나요.라는 마음으로 이별을 대했을것 같다.

이 책을 읽으면서 누군가와 헤어지는 시간을 알게 된다면 과연 좋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 상황이 어떤가에 따라 다르겠지만... 마지막 결론은 지금 이 순간에 감사하고 최선을 다 하자는 결론을 내렸다.

아이들 소설이지만, 아직 어린아이처럼 덜 성숙한 어른이기에 참 책이 좋다. 우리 꼬꼬마들도 이를 받아들이는 시간이 있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