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너선 아이브 - 위대한 디자인 기업 애플을 만든 또 한 명의 천재
리앤더 카니 지음, 안진환 옮김 / 민음사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애플빠(?)를 자칭했던 나는 아이폰, 아이패드, 아이팟, 맥북 등은 섭렵하고 그토록 열광하였음에도

스티브 잡스와 팀 쿡은 알아도 조너선 아이브는 잘 알지 못했다.

사실 내가 삼성전자나 다른 여타 브랜드에 한눈팔지 않고 애플을 무한애정한 이유는

무엇보다 '아름다워서'라는 '디자인'요소 때문이었는데도 말이다.

그래서 서점에서 스티브 잡스 옆에 나란히 누워있는 조너선 아이브의 책을 읽을 기회가 생겼을 때

그동안 못알아봐서 죄송합니다라는 마음과 그의 디자인 철학에 대한 호기심에 책장을 넘겼다.

우선 이 책은 아이브의 학창 시절 부터 시작된다. 물론 그가 초등학교 시절엔 학습 장애 난독증 진단을 받았다고는 했지만,

책 표지의 소 제목 처럼 '위대한 디자인 기업 애플을 만든 또 한 명의 천재'임이 학창 시절 부터 여러부분에서 부각 되었다.

또한 디자인 부문 왕립 교육 장학관인 아버지 '마이크 아이브'는 아들에게 창의적인 소양 계발을 위한 환경을 만들어 주었고,

조너선 아이브가 디자이너로서 성공하기 위한 최상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최선으로 도와주려는 노력을 멈추지 않았다.

이러한 것은 분명히 조너선이 애플의 수석 디자이너로 성장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이 든다.

(슬프지만 나도 모르게 개천에서 용이 나거나 7전 8기의 스토리를 기대하고 또 위안 받고 싶었나보다. 

뭔가 대한민국의 평범한 8년차 디자이너인 나에게는 좌절을 안겨주었던 챕터였다. 또르르...)

 

 

 

 

그리고 또 다시 한 번 좌절과 부러움을 동시에 알려준 것은 영국식 디자인 교육!

"영국에는 T형 디자이너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특정 분야에서 원숙한 기량을 연마한 동시에 여타 디자인 분야에서도 상당한 조예가 있는 디자이말하는 겁니다.

결국 아이브는 자신이 받은 영국식 디자인 및 예술 교육의 기본 취지를 토대로 서비스 디자인, 멀티미디어 측면, 포장 방식,

홍보 활동 등을 조율해 왔을 겁니다"

_ 알렉스 밀턴(아일랜드 국립 예술 디자인 대학 교수)

"대학 교육을 받으면서 아이브의 직업 윤리관은 더욱 확고해졌고 초점은 한결 분명해졌다.

그는 뉴캐슬 경험의 상당 부분을 자신의 것으로 소화했다.

모형과 시제품을 열심히 제작하는 평생 습관도 그렇게 생긴 것이었다.

그가 받은 디자인 테크놀로지 교육은 모험을 장려하고 실패해도 보상하는 분위기였다....(중략)

.....미국의 디자인 교육 제도가 학생들에게 종업원이 되는 방법을 가르친다면 영국의 제도는 열정을 좇고 팀원을 끌어모으는 방

가르치는데 중점을 둔다고 비교할 수도 있다...(중략)."

우..우리나라는? 잠깐 생각을 하게 되었던 부분 이었다.

이렇게 좋은 환경과 교육으로 남다른 출발선에 선 듯한 그는 졸업 후에도 그의 재능만으로 애플에 입사하고,

운명의 파트너 잡스와 함께 애플에서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현직 디자이너로서 그들의 대화를 엿본다는 것 자체가 가슴 떨리는 순간이 었다.

비록 내 머릿속에서 상상으로 그려 보는 풍경이지만, 그들의 작업 방식들은 너무너무 궁금했었다.

물론 이 책에서 그것들을 낱낱히 드러내고 있지는 않지만,

기술적인 문제의 접근이 아닌 '사람'에서 시작된 디자인, 사용자의 인식을 디자인하는

애플과 수장 조너선 아이브의 행보가 앞으로도 기대가 된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