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류지향 - 배움을 흥정하는 아이들, 일에서 도피하는 청년들 성장 거부 세대에 대한 사회학적 통찰
우치다 타츠루 지음, 김경옥 옮김 / 민들레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런 책을 읽은 후에 반드시 드는 생각이 "일본어 공부해야지"라는 것이다. 일본어를 공부하는 이유는 일본에 방문하고 싶거나 일본에 비즈니스상 필요가 있어서가 아니라 일본 책을 원서로 읽고 싶다는 생각 때문이다. 일본이 우리나라보다 20년 정도는 앞서고, 특히 일본에서 일어났던 많은 사회문제들이 우리나라에서 거의 비슷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이런 사회문제에 대한 호기심으로 일본사회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왕따'라는 말이 나오기 전에 신문에서는 이지메라는 말을 사용했고, 우리나라에서 고독사라는 것이 등장하기 훨씬 전에 일본에서는 이것이 큰 사회문제였다. 이 책은 2005년 저자의 강의 후 2007년에 집필되었고, 우리나라에도 번역이 되었다가 혹평에 절판이 되었었다. 그렇게 절판이 되었던 책이 다시 개정판으로 번역이 된 이유는 이 책이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점이 분명히 있기 때문이다. 정말 읽는 내내 고개를 끄덕거릴 수 밖에 없었다.

 

우리 교육현장에서도 더 이상 예전의 교실은 찾아보기 힘들다. 수업 중 잠을 잔다거나 소란스럽게 떠드는 학생들을 보는 것은 당연하고, "왜 이런 걸 배워요?"라는 질문은 너무나 많이 들어서 식상할 정도이다. 학부모들의 민원은 말할 것도 없고, 그러면서 아이들의 학력은 매년 떨어지는 것이 눈이 띌 정도이다. 이런 모습들을 학교현장에서 보고 있으면서도 이 아이들이 신인류라는 생각은 하긴 했지만, 왜 아이들이 이런 행동을 할까라는 근본적인 이유에 대해서는 생각해 보지 못한 것 같다. 정말 단순하게도 자본주의적 사고, 등가법칙에 의한 교환의 사고방식에 의한 것이라는 통찰에 공감을 한다. 편의점과 학교가 다르지 않다고 생각 때문에, 아이들은 자신에게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이 되거나, 즉각적인 보상이 따르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무심한 것이다. 또한 요즘 우리 교육현장에서 아이들의 자율성이나 자기선택을 중요하게 생각을 하는데, 이런 것이 나중에는 아이들에게 모든 책임을 지우게 되고, 이런 교육현장의 모습이 아이들을 아무런 안전장치도 없는 곳으로 몰아 소외되게 만드는 것은 아닌지 의심하게 된다. 이런 아이들이 사회에 나갔을 때 당연히 소위 NEET족이 안 된다는 보장은 없는 것이다. 더 나은 교육, 더 나은 미래 세대를 위해 학교현장에서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진지하게 고민하게 된다.

아이들은 이미 취학 전에 소비주체로서 자기를 확립하고 있다. (p.49)

역설적이게도 리스크 사회에서 생존 경쟁에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는 사람들은 이 사회가 노력에 반드시 보상이 따르지 않는 리스크 사회라는 기본적인 사실을 거스르고 의연하게 노력하는 사람들이다. (p.92)

리스크 사회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이들은 ‘살아남은 것을 집단의 목표로 내걸고 상부상조하는 집단에 속한 사람들‘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리스크 사회를 살아간다‘는 의미는 항간에서 이야기하듯 ‘자기가 결정하고 그 결과도 혼자서 책임진다‘는 원리로 사는 게 결코 아니다 자기가 결정하고 결과도 자신이 책임지는 말은 리스크 사회가 약자에게 강요하는 삶의 방식이다.(p.10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