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의 노래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7년 12월
평점 :
품절


인 터넷에서 책을 찾다가 현의 노래라는 책을 보게 되었다. 가야금을 만든 우륵의 이야기였다. 그리고 현의 노래라는 책 옆에는 이름이 비슷한 칼의 노래가 있었다. 나는 두 책 모두 구매를 했다. 하지만 나의 눈을 먼저 사로 잡은 책인 현의 노래 먼저 읽으려고 했다. 하지만 시간이란 핑계로 미루고 있을 때 칼의 노래가 손에 잡혔다. 나는 칼의 노래를 읽기 시작했다.
이 책의 이야기는 이순신이 백의종군한 때 부터 시작이 되었다. 나는 이순신이란 그리 좋아하지도 싫어하지도 않는 인물에 대한 내용을 읽는 것은 곤욕이라고 생각했다. 뒤의 내용이 궁금하지는 않았지만 웬지 모르게 책에서 손을 뗄 수는 없었다.
이 책은 일인칭 주인공 시점으로 되어있다. 하지만 일반 일인칭 주인공 시점 소설과 다른 점은 해설이 하나도 없다는 점이었다.
이 책의 문장은 간결했지만 표현은 뛰어났다. 실제로 이순신이 이렇게 썼을 거라고 생각은 안 하지만 이 책을 읽고 나서 이순신에 대한 이미지가 조금은 좋게 바뀌었다. 때로는 단호하게 때로는 애절한 그는 좋은 장수와 더불어 좋은 사람인 것같았다.
이순신이 말한 바다에 시체가 얼마가 있는 화약이 얼마나 있든 지나간 것들의 흔적이 물위에는 없었고 언제나 새로운 바다였다.라는 말이 머리에서 맴돈다. 그리고 내가 덧붙이자면 '언제나 바다에서는 새로운 전투였다.'이다. 우리나라의 바다는 제한이 있지만 드넓어보였다. 그 바다 또한 새로운 바다가 된다. 이순신은 바다를 정복했다고 말하지 않았다. 바다를 알고 있다고도 말하지 않았다. 이순신은 그저 바다가 새로워진다는 것만을 알았을 뿐이었다. 우리는 그 새롭고 새로워진 바다에서 양식을 얻고 즐거움을 얻고 있다. 그가 바다를 지켰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그가 한 일 위에서 우리는 얻고 있다.
나는 이 책을 통해서 임진왜란, 정유재란의 상황을 간접적으로 느끼고 이해했다. 물론 다 느끼고 이해하지는 못했겠지만 하지만 전쟁이란 것은 모든 것을 전쟁이란 시선으로 봐야한다는 게 너무 무서웠다. 우리가 평소에 얼굴을 마주치며 보는 사람들의 표정, 생김새 까지 모두 적으로 보아야한다. 그 사실이 나에게 닥쳐온다면 나는 살수 없을 것같았다. 하지만 전란 속에서도 희망을 버리지 않는 조선 백성들의 모습에 내 자신을 반성하게 되었다.
조선은 끊임없이 눈물을 흘렸다. 왕도 조정대신들도 눈물을 흘렸다. 무능함이었다. 아무 것도 할 수 없다는 무능함 그리고 의심.
적 은 저 멀리 있다. 멀리 있어서 적은 못보고 가까이 있는 괜한 인재들만 의심의 싹 속에 죽었다. 눈물의 이유는 그 두 가지 때문이었다. 정치적 혼란은 의심을 낳았고 무능을 키웠다. 우리의 인재들을 죽였고 무능함은 더욱 더 자라났다. 거기에 어리석음은 옵션이었다.
명의 군대가 자신의 이익만을 위해 강화에만 있다가 일본이 항복한다니까 나와서 돌아다니는 꼴을 보아도 뭐라고 하지 못하는 무능함이었다. 명의 군대의 죽음까진 필요없다. 하지만 이런 무능함은 너무나 슬펐고 너무나 짜증이 났다. 하지만 '내가 그렇게 무능해질 수도 있겠구나'라고 생각하니까 괜히 헛웃음이 나왔다.
이 책을 소설로만 읽어달라는 작가의 당부가 책에 쓰여 있었지만 그 당부가 무색하게 나는 화가 났고 슬펐고 이순신이 속으로 "죽여야 하나?"라는 대사에 통쾌했다. 그리고 이순신의 속에서 칼이 징징 울릴 때 내 마음에서 또한 징징 울었다.
만약 시험에 이순신에 관한 문제가 어디에라도 나온다면 틀리지 않을 자신감은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