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의 성별 - 가족은 어떻게 불평등을 재생산하는가 Philos Feminism 7
셀린 베시에르.시빌 골라크 지음, 이민경 옮김 / arte(아르테)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본의성별 #셀린베시에르 #시빌골라크 #이민경 옮김 #아르테 


“가족은 어떻게 불평등을 재생산하는가” 

이 부제를 가만 바라본다. 유럽에서, 그것도 프랑스에서... 이런 이야기가 나온다고? 잘못 본 게 아니다.


꽤 많은 사례가 나온다. 세계적 기업 아마존. 만들어질 때는 아내의 역할도 꽤 있었는데 부부가 이혼할 때 기업의 존폐... 음 그러니까 경영권 문제가 야기될 것을 우려해(? 누가 우려한 것이지?) 아내는 지분을 포기했다는 것. 이건 꽤 유명한 일화지만 보통 가정에서 이혼할 때 여성이 재정적으로 훨씬 불리해진다. 


상속 역시 장자 우선으로 여성은 아무리 똑똑하고 공부를 많이 했어도 우선순위에서 밀린다. (적어도 책속에 등장하는 사례는 그렇다)  프랑스에 19세기 초반 상속법 문제가 성병을 차별하지 않는다고 정리했음에도... 무려 200년이 지났는데도... 여전히... 휴. 


여성이 종속적 존재라는 인식, 문화, 심지어 법... 언제쯤 말끔히 사라지려나. 자본은 말이야. 문제가 아닌 부분이 대체 어딜까. 책을 읽으면서 답답해지는 마음은 책 안에서 도저히 풀리지가 않는다. 이 책을 읽고 우리는 어떤 대화를 나누면 좋을까. 문제 해결을 위해 어떤 방법들을 모색하면 좋은가. 비전이 필요해 보인다. 


* 서평단 활동에 의한 솔직한 독후감입니다. 


#사월 #사월독서 #사월책읽기 #사월책일기 #북스타그램 #책스타그램 #책리뷰 #북서퍼2기 #서평단 #필로스페미니즘시리즈 #페미니즘 #여성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