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의 종말 - 하버드 의대 수명 혁명 프로젝트
데이비드 A. 싱클레어.매슈 D. 러플랜트 지음, 이한음 옮김 / 부키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갑자기 궁금하다. 알라딘에서 ‘종말’을 검색해본다. 노화의 종말, 평균의 종말(아주 잼나게 읽은 책), 육식의 종말, 소유의 종말, 에로스의 종말, 노동의 종말, 리추얼의 종말, 빈곤의 종말, 탄소사회의 종말, 편항의 종말, 역사의 종말... 1페이지에서만 찾은 종말이 이 정도다. 인간이 원하는 끝, 단절이 생각보다 많은 모양이다. 


<노화의 종말>로 돌아와서. 작가는 ‘노화는 질병이다’라고 주장한다. 늙으면 여기 저기 하나씩 고장나고 불편한 게 당연하다는 인식이 노화를 치료?할 수 없게 만든다면서. 아마도 수많은 이들이 원하는 “건강하게 오래오래 사는 것”에 대해 생물학적인 연구로 가능성을 입증하는 그의 이야기 중 가장 솔깃했던 부분은 노화를 질병으로 볼 때 노화에 따른 중증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런 분야에 항상 뒤따르는 것은 ‘윤리적’ 문제. 과연 인간이 (건강하게) 120~150살까지 사는 게 좋은가? 복지, 의료, 노동 문제들의 재편이 불가피할 것이며 그 와중에 엄청난 사회적 논쟁과 피로도가 야기될 가능성이 높다. 그렇더라도 평균수명을 연장하려한다면 자본논리에서 얼마나 자유로울 수 있나? 결국 수명 문제까지 양극화에 (이미 어느 정도 연루되어 있지만) 탑승하게 된다면 어쩌나... 등등. 흠흠. 


중간중간 생물학적 연구 과정에 대한 부분에서는 이게 뭔소리야...라며 대충 읽은 감이 없지 않지만 전체적인 맥락으로 보면 최근 읽은 과학분야 도서들을 놓고 볼 때 흥미로운 이슈였다. 요고 한 권으로는 부족할 것 같으니 관련 분야 책을 한 두 권 연속해서 보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