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 곰은 모르는 이야기 신나는 새싹 52
구스타보 롤단 지음, 김지애 옮김 / 씨드북(주) / 2017년 6월
평점 :
절판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아빠 곰은 모르는 이야기』 

구스타보 롤단 / 김지애 옮김/ 42쪽/ 씨드북/ 2016/ 12,000원 


아빠 곰은 글을 쓴다. 곰의 감수성과 서정성을 담아 인간 이야기를 써서 출판사로 보내지만 매번 퇴짜를 맞는다. 아들 곰은 아빠랑 마냥 놀고 싶지만 아빠는 매일 글에 매달리고, 심지어 아이를 첫 독자로 삼는다. 지루하다 못해 졸음이 쏟아지는 이야기를 듣다가 지친 아이는 급기야 아빠의 글을 조금, 아주 살짝 잔인하고 스릴 있는 내용으로 고쳐보기로 한다. 맙소사! 아들이 손 댄 줄 모르고 보낸 원고를 드디어 출간하자는 연락이 왔다. 대체 글이 어떻게 달라진 걸까? 


‘보이지 않는 날개가 바람에 펄럭이기라도 하는 듯 여인은 스스륵 미끄러지듯 다가와...’ 


‘여인은 시커멓고 무시무시한 털복숭이 날개를 펄럭이며 다가와 더러운 손톱으로 사람들을 마구 할퀴었다.’


위는 아빠의 원문이고 아래는 아들이 고친 글이다. 책을 함께 읽은 한 학생이 말했다. 아빠의 글은 시 같고, 아들의 글은 만화책 같다고. 속이 뻥 뚫리는 한줄 평이었다. 그렇게 놓고 보니 이 책은 문학의 취향 이야기를 하려는 건가? 싶었다.

원제는 『곰 이야기』. 책은 곰 이야기인데 곰은 인간 이야기를 쓰는 설정이다. 이야기와 이야기가 맞물린 구조가 일단 흥미롭다. 그런가하면 퇴고라는 과정과 흥미진진한 이야기 작법을 알려주는 것도 같다. 결말을 보면 또 다른 소감이 꼬리를 문다. 글 쓰는 것은 어렵다는 아들의 깨달음을 통해 창작가의 고통을 작가가 은유적으로 표현하고 싶었던 것도 같다. 한편 서정적이면서 잔인한 이야기를 쓰겠다는 아빠의 결심이 그저 결심에 그친 결말로 봐서 사람(? 곰?)은 쉽게 변하지 않는다는 교훈도 말해주는 것 같다. 


펜으로 표현된 그림에 색이라고는 주황색뿐이다. 한 가지 색으로 포인트를 적절히 잘 살리면서 책 속에서 아빠와 아들이 쓴 이야기도 주황색으로 표시해 글자와 그림에 통일성을 부여했다. 이러한 색의 사용은 여백이 많은 그림책을 볼 때 그림에 훨씬 집중하도록 만드는 효과를 준다. 단순하지만 시선을 사로잡은 그림과 재미와 교훈, 반전과 해학까지 가득 채운 이야기가 조화로운 그림책이다. 작가의 다른 그림책을 한국에서 더 만나볼 수 있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