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일의 편지
모리사와 아키오 지음, 권남희 옮김 / 문예춘추사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요일의 편지>는 수요일에 편지를 적은 남성과 

여성의 편지가 서로 교환되며 바뀌는 과정을 담고 있다.


 수요일에 편지를 적은 여성은, 주부의 삶으로서 어릴 때의 꿈을 포기하고 지내고 있다. 

그러던 도중 친구를 통해 '수요일의 편지'라는 존재를 알게 된다. 


수요일에 편지를 보내면 다른 타인의 편지를 받는다는 것. 


여성은 그 이야기를 듣고, 꿈을 이루지 못하는 자신이 아닌

'꿈을 이룬 자신' 을 공상하며 편지를 적는다.


반면, 남성은 꿈을 이루지 못하여 한탄하는 

이야기를 적어 편지를 적어 '수요일의 편지'인 우체통에 넣는다. 


그리고, 이 편지를 검사하는 우체부는 

이 둘이 서로의 편지를 받아보게 하도록 결정한다.

 원래는 랜덤으로 섞어서 보내는 것이 규칙이다. 

그렇지만, 편지를 보던 도중 우체부들이 

'이 둘의 편지를 교환하면 좋겠다' 이리 결정하는 것은 허용되는 원칙이었다. 

우체부의 선택으로, 둘은 남성과 여성은 서로의 편지를 받아보게 된다. 


꿈을 이룬 공상의 편지와, 현실 한탄의 

편지가 교환되며 이루어지는 변화. 


사람이 살아가면서 꿈을 품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 하는 소설이었다. 

소설에서는 '꿈' 과 '단 한 번 뿐인 삶'을 강조하고 있다. 

 단 한 번 뿐인 삶인데, 하고 싶은 것을 '시도'조차 하지 않고, '도전'하지 않는 삶은 아깝다는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우리는 삶을 살면서 너무 비판적으로만 보는 것이 아닐까.


우리는 삶을 살면서 너무 비판적으로만 보는 것이 아닐까.
소설 속에서 작가는 인물을 통해서,
'단 한 번 뿐인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이렇게 얘기한다.
 
자신이 원하던 꿈에
다가가기 위해서 는 불평불만이 독이 된다고 말이다.
그러면서,  
'감사함'과 '단 한 번 뿐인 삶'을 인지하고 
살라고 전하고 있다. 

또한, 이 소설의 강점은 

작가의 문체가 자연스럽고 읽기 쉬운 가독성을 뽑을 수 있다.

그러기 때문에 문체의 가독성을 선호하는 

사람들이라면 쉽게 읽을 수 있다. 


이 외에도 <에밀리의 부엌칼> 소설 작품을 즐겁게 읽은 사람들이라면, 충분히 흥미를 가지고 읽을만한 가치가 있다. 


하나의 편지가 한 사람의 인생을 

바꿀 수 있다는 가치 역시 전달하고 있다. 


작가의 말에 따르면, '수요일의 편지'라는 편지 원칙이 

일본 실제 지역에서 시행하고 있다고 한다. 

똑같지는 않지만, 실제 시행되고 있는 우체 서비스를 모티프로 잡았다는 것에서, 작가는 '편지'의 중요성을 더욱 알려주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 


      손으로 적어서 받는 손편지에서 담기는 온기는 

      컴퓨터의 텍스트와는 다른 매력을 지니고 있다.


그만큼, 작가는 이러한 손편지의 강점을 통해

'꿈'과 '단 한 번 뿐인 삶'의 내용을 강조했다.


 누구에게 추천하나요? 


1. 손편지가 모티프가 되는 소설을 읽고 싶은 사람.

2. 꿈과 삶의 조화에 대한 해결책을 찾고 있는 사람

3. 꿈이 무엇인지 한탄하는 마음을 가진 사람

4. 일본 소설이 갖고 있는 '따뜻한' 감정의 소설을 좋아하는 사람

5. 일본 소설의 잔잔한 소설을 통한 메시지를 좋아하는 사람

6. <에밀리의 부엌칼> 작품을 인상깊게 읽은 사람. 


위 사항에 해당하는 사람들께 추천합니다.



* 이 책은 문예춘추사로부터 책을 협찬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