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특강 - 가장 기본적이고 실용적인
김해식 지음 / 파라북스 / 2011년 1월
평점 :
절판


읽는 건 참 좋아하는데 읽을 것을 글로 옮기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작업이다. 인터넷에 쉽게 몇 줄 쓰는 것 까지는 재밌고 좋은데 글이 조금만 길어지면 글쓰기에 대해 깊게 생각한 적도 배운 적도 없어 난감한 적이 많다. 책을 좋아해서 읽고 나름 블로그에 서평을 작성하지만 언제부터인지 조금 더 잘 쓰고 싶다는 욕심이 들고, 최근에는 수능을 볼 때도 대학교에서 리포트나 졸업 논물을 쓸 때도, 취업을 해서 직장에서 각종 보고서 등 언제부턴가 자연스럽게 글 쓰는 능력이 요구되는 사회가 되었다.

 

글쓰기라는 이야기를 나처럼 많은 사람들이 어렵게 생각할 것이다. 왠지 관련 학과에서 배우듯 차례대로 밟아가야 할 것 같고, 또 그 틀이나 어려운 방법과 단어들이 시작하기도 전에 주눅이 들게 마련이다. 외국에서야 글 쓰는 것이 일상화되어 있고 학교에서도 배우고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하지만 우리는 사용하는 곳은 많은데 실제적으로 기초부터 가르쳐주지 않아 각자가 알아서 해결해야 하는 부분이 있다.

 

이 책은 소설처럼 감성적이거나 어려운 용어를 다루지 않는다. 실용적으로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 준다. 어떤 정보를 눈으로 읽고 받아들여 이것을 쓰려고 할 때 잘 써지지 않아 답답한 경험을 한 사람이 대부분일 것이다. 글은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표현하는 하나의 수단인데 그것을 글로 바뀌는 과정이 너무 힘들게 느껴졌었다. 그럼 글로 나를 표현하고 체계적이고 좀 논리적으로 다듬을 수 있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예상대로 글쓰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은 글 읽기이다. 전에 유시민씨가 글을 잘 쓰는 방법에 대해 말하는 동영상을 본 적이 있는데 글을 잘 쓰기 위한 방법은 모두가 알고 있듯이 책을 많이 읽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이해됐던 부분이 책을 읽으면 현실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는 표현이나 단어들을 접하게 되면서 그것을 받아들이게 된다. 글쓰기를 잘 하려면 알고 있는 어휘가 많아야 하는데 그것은 꾸준한 독서가 병행되어야 한다. 독서를 포함 신문이나 잡지 학위 논문 등 많이 읽고 이해하고 그것을 비판해보고 또 다른 방향에서 창조해 보는 것이 독서와 글쓰기를 연결하는 자연스런 방법이다. 책을 읽다가 잘 모르거나 아무리 읽어도 무슨 말을 하는 것인지 핵심을 찾지 못해 난감했던 적이 있었는데 일단 간결하게 포인트를 찾고 긴 문장을 정리해서 내 생각을 담아 풀어보는 과정은 흥미로웠다.

 

개인적으로 좋았던 부분은 글의 요약을 통해 글쓰기 훈련을 하는 부분이었는데, 책을 읽으면서 경제서적 같은 경우는 이해가 잘 되지 않는 적이 많았는데 조금 어렵거나 정리가 필요한 책이나 논문은 문단별로 핵심문장을 골라 자신의 언어로 바꿔보는 것이다. 이 방법을 배우면 글을 읽고 정리하고 내 것으로 바꿀 수 있는 능력이 길러지게 되고 논술시험을 볼 때도 리포트를 제출할 때도 아주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이 책의 장점이기도 한데 쉽게 독자도 따라해 볼 수 있고 바로 실생활에 적용해볼 수 있다.

 

글을 잘 요약하는 연습은 주어진 글의 내용과 주제를 파악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고,

이런 연습을 반복하다 보면 어떤 주제가 주어졌을 때 개요를 짜는 능력이 저절로 길러질 것이다. -p66

 

전에 김훈 작가는 글을 쓸 때 짧고 강한 글을 쓰려고 한다고 했었는데 이 책에서 역시 글쓰기 연습을 할 때는 짧고 강한 문장을 쓰라고 한다. 간결하게 쓰고 문단 나누기로 호흡을 조절하고 자신만의 문체로 언어를 만드는 것이다. 거기에 학생이라면 평소에 주제와 제재를 미리 뽑아 두면 글을 쓸 때 혹은 과제가 주어졌을 때 시간 단축도 가능하고 글쓰기에 대한 스트레스를 조금 해소할 수 있다.

 

우선 내가 관심을 갖고 있는 주제에서 많은 사람들의 관심사가 되고 있는 주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의 목록을 작성해 두는 것이 좋은 글을 쉽게 쓸 수 있는 지름길이 된다. 또한 그것은 나의 사고력과 판단력을 넓히고 나아가 인생을 둘러싸고 있는 많은 문제를 고민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키우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글쓰기에도 대략적인 순서 틀이 있다고 한다. 좀 더 글을 다듬을 수 있고 체계적인 글을 쓰려면 과정을 따라가는 방법을 익혀보면 도움이 될 것이다. 일단 주제를 선정하고 관련된 자료를 수집한다. 모아놓은 자료를 참고해서 주제에 대해 다시 검토를 한다. 이때 주제에 맞는 자료를 구하기 힘들거나 연관성 여부를 고려해서 재검토를 하는 것이다. 부족한 부분은 없는지 살펴본 후 추가로 자료를 수집하고 최종적으로 모인 자료들을 분석한 후 글을 작성한다.

 

여기서 초보자가 쉽게 하는 실수에 대해 알아보면,

대개 처음 제대로 된 글을 쓰는 사람들이 빠지기 쉬운 유혹은 한편의 글에서 너무 많은 것을 다루려는 욕심이다. 욕심이 크면 허우적거리다가 결국에는 지쳐 버리기 일쑤다. 숲을 그리려다가 숲속에서 길을 잃는 것보다는 나무 하나라도 제대로 그리는 것이 좋다. -p108

 

사실, 이 책을 읽고 글쓰기가 하루아침에 체계적으로 바뀌지는 않을 것이다. 기본 틀을 잡는 방법을 배웠으니 꾸준한 연습으로 조금씩 발전해가야 할 것이다. 글에 대한 막연한 부분을 기초 공사를 하듯 뼈대를 설계하는 방법을 알게 된 기분이다. 대신 소설에 대한 글쓰기와는 조금 다른 부분이 있으니 이 책으로는 기본 틀을 잡는 정도로만 만족해야 할 것이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대학 리포터, 논술 등 실용적인 글쓰기에 대해 다루고 있다. 어렵게만 느껴졌던 책을 읽을 때 배운 방법으로 책을 읽어나간다면 요점에 대한 포인트를 찾고 쓰는 것 역시 적어도 내가 무슨 이야기를 하고 싶은지 읽는 사람에게 표현은 할 수 있을 것 같다.

 

2011-004


책, 소소한 탐닉 오픈캐스트 구독
http://opencast.naver.com/RV17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