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경찰의 밤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이선희 옮김 / 바움 / 2010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히가시노 게이고란 이름은 마치 브랜드처럼 좋고 나쁨을 따지기 전에 먼저 손이 반응한다. [성녀의 구제]를 읽어야지 하고 있었는데 어느 덧 또 신간이 등장했다. 일본작가들은 정말이지 독자가 작가를 숨을 헐떡이며 따라가야 책을 읽을 수 있을 만큼 많이 내는 것 같다. 받아보고 별로 선호하지 않은 단편인걸 알았다. 그래도 요즘 단편에 대한 편견을 많이 없앴지만 히가시노 게이고 단편에 안 좋은 기억이 있어서 읽기 전에 벌써 긴장이 됐다. 읽다보니 다행인 것이 하나의 단어, 즉 차, 교통사고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서 이야기의 흐름이 깨지지 않고 여러 가지 맛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책이었다. 장편이 마치 커다란 찌개하나를 밥과 배 두드려가며 먹은 것 같다면 [교통경찰의 밤]은 중식에서도 탕수육, 자장면, 볶음밥, 짬뽕을 골고루 먹은 느낌이랄까?

 

독자의 입장에서는 장편보다 단편이 대하기 더 힘들다. 뜻도 헤아리기 힘들고 또 너무 짧으면 이게 뭔가 싶어 읽고 나서도 허무함이 지워지지 않는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6편을 적당히 잘 버무려 놓았다는 점이 마음에 든다. 그리고 일단 주제가 생기니 이야기가 깔끔하게 끝나는 맛이 있다. 아쉬운 점이라면 짧기 때문에 전에 읽었던 [악의]처럼 소설 전체를 한 번씩 틀어주는 뒷맛이 없다는 점이었다.

 

[스포일러 있음]

6편 모두 차에 대한 사고라는 공통된 소재가 있고 그것에 대해 각각 전하는 메시지가 다르다. 자신의 타고난 귀를 통해 오빠의 사고를 짜 맞춘 소녀에게서는 순해 보이고 진실만을 말할 것 같은 이미지를 갖고 있지만 마지막 생각지 못했던 반전의 미소가 있었고, [분리대]에서는 정직하게 살아온 사람이 죽게 되는 억울함 속에 그것을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말이 생각나도록 똑같이 되갚아 주면서 (좀 위험했지만) 상황 역전을 만든다. 여기서 기억에 남는 글은 “원래 규칙은 양날의 칼이야. 자신을 지켜준다고 생각한 것이 어느 날 갑자기 자신에게 칼을 들이대지. 그런 경우에 중요한 건 그 칼을 사용하는 사람이야. 그런데 무능하고 멍청한 사람은 날카로운 칼을 형식대로 휘두르거든.”-p90

 

아마도 [위험한 초보운전] 부분에서 많은 여자운전자들이 공감했을 것 같다. 나 역시도 면허를 따면 이런 난감한 상황이 벌어지면 어쩌나 하는 생각을 했고 실제 초보운전 친구들을 보면 진땀을 빼는 모습에서 현재 우리의 운전문화를 살펴보면 한숨이 나오기 때문이다. 운전을 잘 했던 사람들도 모두 초보였던 시절이 있는 것인데 그 생각을 못하는지 아쉽기만 하다. 그러다 이 남자처럼 당할 수 있으니 조심해야겠다.

 

우리가 별 생각 없이 하는 [불법주차] 때문에 한 생명이 사라질 수도 있다. 이 단편에서는 자신의 아이가 아팠지만 그 한 차량 때문에 생명을 잃게 되어 복수하는 이야기가 펼쳐진다. 불법주차는 사소하면서도 그 파장이 큰데, 가령 정말 좁은 골목길에 차량을 많이 주차해놓으면 불이 나도 소방차가 진입할 수 없어 무구한 생명이 죽어나갈 확률이 매우 높다. 이런 상황이 벌어진다 생각하니 등골이 오싹하다.

 

차에 대해서 교통사고에 대해서 너무나 쉽게 생각하고 이기적이었던 생각을 조금이나마 진지하게 생각하게 만드는 소설이다. 내가 아무렇지 않게 한 행동에 반대쪽은 소중한 생명을 잃을 수 있다는 것도 알았다. [위험한 초보운전]에서처럼 누군가를 운전하면서 괴롭히지 말아야 하고 고속도로에서 창문 밖으로 쓰레기를 던지는 것도 누군가가 맞아서 다칠 수 있으니 삼가야 한다. 모두가 알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지켜지지 않는 것들을 조금 섬뜩하게 복수하듯 상황을 설정해 만들어 놓으니 내가 의도하지 않더라도 어떤 피해가 생길 수 있고 어떤 사람이 다칠 수 있다는 생각이 들게 된다. 올해 면허를 따려고 하는데 이 이야기를 잊으면 안 될 것 같다.

 

2010.02.botongsara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