깐깐한 독서본능 - 책 읽기 고수 '파란여우'의 종횡무진 독서기
윤미화 지음 / 21세기북스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에 대한 이야기는 어떻게 보면 독서의 쉼이다. 쭉쭉 이어가다가 잠깐 뒤를 돌아볼 때 나와 같은 책을 읽고 어떤 생각이 겹치고 어떤 생각은 전혀 다른 부분을 찾아서 읽다보면 그 재미가 좋아서 책 이야기를 좋아한다. 작가가 쓴 책이야기를 주로 보는데 이 책은 두툼함과 깐깐함이란 단어에 끌렸다. 왠지 쉽게 그 깐깐함을 붙이지는 않았을 테니 그 깐깐함을 좀 배워보고자 함이었다.

 

일단 5년 동안 천권의 책을 읽으면서 그것을 꼼꼼하게 기록했다는 점이 부러웠다. 나 역시도 서평을 쓰긴 했지만 이건 뭐 하다 시간이 나질 않으면 그냥 정신없이 건너뛰기 일쑤라 후회한 적이 많았는데 참으로 부러웠다. 거기에 부러운 점이 더 있다. 나 나름대로도 좀 책을 폭넓게 읽으려고 애쓴다고 생각했는데 이건 뭐 책의 소재와 범위가 워낙 넓으니(이 책에서 보면 정치, 경제, 역사, 종교, 음식, 지구 등 정말 많이 책들이 소개되어 있다. 거기에 더 입을 떡 벌어지게 한 것은 그것들을 모두 이야기할 수 있는 다방면의 지식이었다.) 나와는 비교가 되지 않았고 서평의 내용도 비판하는 모습도 뭘 알아야 하는 것을 알고 있으니 그가 쌓아온 책만큼 지식의 내공 역시 부러움의 대상이 되었다.

 

책을 읽다보면 중간 중간 나오는 부분이 개인적으로 더 재밌었다. 서평을 쓰고 있는 방법이라든지, 자신에게 책이란 무엇이고 어떤 작가를 좋아하고 (특히 장정일에 대한 열정적인 모습을 보면서 나도 나만의 소중한 너무나 좋아하는 작가를 한 명 만들기로 했다.) 어떤 책을 좋아하는지. 책에 푹 빠져 사는 만큼 또 책이 좋아 이 책을 읽고 있는 독자가 한 개인의 서재에 방문해서 그의 책 이야기를 듣는 것만큼 사실적으로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었다.

 

공감했던 부분은

나는 이 소설을 읽고 나서야 일본 작가들은 만연체의 풍요로운 이야기보다는 단문으로 풀어나가는 기술을 선호한다는 것을 새삼 발견했다. 어찌된 일인지 내가 읽은 몇 권 안 되는 일본 소설이 대개 짧은 문장과 발랄한 문체, 그리고 간단한 마무리라는 공통점을 보인다. 일본인들이 사용하는 언어습관을 보면 건조한 느낌을 받는데 오쿠다 히데오의 [공중그네]나 [면장선거]도 예외는 아니었다. - p86

일본 소설은 주로 너무 많은 생각을 하기 싫을 때 읽는데 읽으면서 내가 느꼈던 부분을 이렇게 조리 있게 표현해 놓은 부분을 봤을 때 내가 아는 단어도 몇 개 없고 표현력이 정말 부족하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난 파란여우의 책을 읽으면서 많이 반성했다. 서평을 언제부터인지 나름대로 써보고 있지만 마음에 꽉 차지도 않았고 무엇을 꼼꼼하게 하지도 못했다는 생각이 들어 지금부터라도 더 적극적으로 책에 대한 기록을 하려고 마음먹었다. 매번 그렇지만 이번에는 제대로 충격을 받았다. 아무래도 글쓰기에 대한 책을 당분간 보면서 나만의 글 색깔을 가지고 싶다는 생각이 가장 컸다. 이 책은 나도 깐깐해지고 싶게 만드는 책이었다.

 

눈치 챘겠지만 나는 서평 쓰기에서 전체 맥락만큼이나 디테일을 중요시한다. 서평공책을 마련하고 어떤 기록양식을 남기느냐는 독자의 몫이다. 그런데 이거 한 가지는 장담한다. 책을 읽으면서 눈이 읽은 것을 손으로 한 번 더 기록함으로써 분명 책의 속살을 더 깊이 애무 할 수 있다. 또 하나 추가하자면 이렇게 기록으로 남겨두면 나중에 다른 글 쓸 때 유식한 척 인용하며 폼도 잴 수 있다. 얼마 전 신간 [공무도하]를 펴낸 소설가 김훈은 자신의 연필을 ‘사시미 칼’ 에 비유했다. 서평에 야망을 품은 서평 꾼이라면 사시미 칼까지는 아니더라도 연필 칼 정도는 갖고 있어야 하지 않겠는가. 기록한 글은 반드시 써먹을 기회가 온다. 지금부터 키보드에만 의존하지 말고 연필을 이용한 자신만의 기호학 공책을 한 권 만드시라. 움베르토 에코가 울고 간다니까요.-p136

 

2010.01.botongsara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