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학 콘서트 2 - 일본인들의 회계상식을 바꿔놓은 <회계학 콘서트> 실전응용편 회계학 콘서트
하야시 아쓰무 지음, 박종민 옮김, 반동현 감수 / 한국경제신문 / 200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생각만 해도 머리를 마구 쥐어뜯을 것만 같은 회계. 평소에 관심은 있지만 너무나 다가가기 어려운 과목이다. 재무회계를 배우면서 어찌하면 조금 더 쉽게 공부할 수 있을까 싶어 검색하던 중 발견한 책이다. [회계학 콘서트]를 읽고 있는데 2권이 나왔기에 같이 읽기 시작했다. 먼저 실전편인 2권을 다 읽고 나니 회계라는 단어에 그래도 거부감이 없어졌다.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전체적인 흐름과 중요한 세세한 부분을 재미를 잃지 않고 설명해 놓아서 다가가기도 쉽고 이해하기도 쉽다. 대신 큰 의류회사를 배경으로 해서 그런지 내가 알아야하고 알고 싶은 것 보다 더 범위가 커서 못 알아듣는 전문 용어들도 있었다. 한 번에 딱하고 이해하기는 쉽지 않으니 처음 회계를 접하는 사람은 우선 큰 흐름을 재밌게 익히면서 읽고 그 후 단어 하나하나 알아보면서 자신의 상황에 맞게 재해석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회계라는 것을 공부해야 하는 것은 큰 기업뿐만 아니다. 중소기업도 1인기업도 그리고 가정  주부도 배워놓으면 유용하게 쓰일 하나의 기술이다. 그리고 요즘처럼 소규모 자영업자가 많은 상황에서 작더라도 경영을 하는데 있어서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 책을 읽기 전에는 큰 회사가 아니면 크게 필요 없다고 생각한 것들이 많은 착오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원가를 계산하는 방법도 단순하게 생각했는데 의외로 놓치고 있는 부분이 많았다.

 

회계에 대한 무지가 재무리스크를 키운다는 말이 정말 딱 맞았다. 일이 벌어지면 다른 사람 탓만 하는 것도 반성하고 남들이 좋다고 하면 목적이나 결과를 생각하지 않고 남들처럼은 해야 된다는 압박감에 비싸도 먼저 사고 보는 모습은 기업뿐만 아니라 개인에게도 필요한 부분들이었다. 순서에 따라 자신의 상황에 맞춰 하나씩 생각해보고 반성하다보면 자신도 모르게 회계를 알면 이렇게 재무관리를 똑바로 할 수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게 된다.

 

뭉뚱그려 알고 있던 단어들의 의미도 알 수 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데이터, 정보, 지식의 개념들을 제대로 인식해야 일을 처리할 때 명확하게 분리할 수 있다. 사장의 위치가 힘들겠다고 생각한 것은 바로 만능이 되어야 한다는 부분이다.  높게 멀리 볼 줄도 알아야 하고 세심하게 살피며 꼼꼼히 체크할 줄 알아야 하며 전체적인 흐름 또한 놓치면 안 되기 때문이다. 들어본 적이 없었던 공헌이익이란 단어도 알았고 이익이 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적자를 내는 제품도 있다는 말을 실감했다.

 

규모가 크고 비싸다고 더 많이 버는 게 아니라는 것도 구체적인 예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전작에서는 초밥을 통해 이야기했고 2편에서는 미용실을 통해 어떻게 장사를 해야 이익이 생기는지에 대한 팁이 담겨져 있다. 그리고 큰 회사 같은 경우 규모가 커서 낭비되는 부분이 많은데 이것을 관리하고 예산을 작성하는 방법까지 많은 부분이 있으니 가정을 책임지는 주부들도 참고하면 좋은 이야기들이 많다. 다행히 쉽게 읽어서 공부하면서 단어들을 맞춰가면서 다시 읽을 생각이다. 이즈미의 재밌고 단계적인 이야기를 듣다보면 회계학의 멘토를 만난 기분이다. 회사도 개인도 회계학 공부를 통해 잘못된 부분을 고치고 똑똑한 재무관리를 할 필요가 있다. 입문서로서 손색이 없는 책이다.


2009.10.botongsara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