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왕세종을 만든 사람들
박영희.이소형.정은혜 지음, 김부일 그림 / 웅진씽크하우스 / 2008년 2월
평점 :
절판



역사라고하면 머리부터 지끈거리는 학창시절이 생각나네요..

이해하는것보단 그냥 책을 줄줄 외워야했던 그시절..

그런데, 이 책한권이 주는 머리속의 게운함은 뭐라 표현하기 힘들답니다.

대왕세종을 중심으로 하나씩 하나씩 많들어지는 역사속 인물들이

머리속에 그려지기까지 하더라구요..

그림또한 역사라는 지루함을 깨우는듯한 만화케릭터로 읽는 재미를

더했으며, 인물한사람 한사람의 특징을 잘 잡아서 간략하게 설명해준 것

또한 이책의 장점이라 볼수 있을것 같습니다..

인물만을 소개한것이 아니라 시대적배경을 설명함으로써 그 인물의

업적을 더욱더 극대화 시켰다는점도 눈여겨 볼만합니다.

그리고 늘 역사속에서 조금 여운이 남았다고나 할까요?

왜?라는 물음이 나올만한 곳엔 (아하 그렇구나 )라는 것으로 궁금증을

해소 시켜주더라구요.

 

그리고 누구나 다 알고 있는 훈민정음에 대한 글이 있는데

전 이 대목이 눈에 팍 들어오더라구요...

훈민정음은 세종이 몰래 만들었다...라는 소제목으로시작한 글이랍니다.

어려운 한자대신 새로운 글을 만들어 백성들도 효와같은 유교의 가르침을 배워야

된다고 생각했지요.. 그런데 당시 신하들은 오직 한자만 글자로 인정해서

세종은 신하들과 맞설 필요가 없다 생각해 비밀리에 한글 창제를 추진한거래요

또한, 집현전 학자들이 만들었다는 것이 그동안의 상식이였지만,

세종의 자녀인 문종,수양대군, 안평대군,정희공주등이 신하들의 눈을 피해

한글의 초안을 만들었다는 겁니다. 실제로 죽산 안씨 족보에는

"공주가 훈민정음 창제를 도왔다"는 기록이 남아있데요.. 그리고 나중에

집현전 학자들이 대거 참여하여 훈민정음을 완성했답니다....

이렇게 흔히 알고 있는 상식밖의 이야기도 알수 있는 책이랍니다..

 

책끝자락에 가보면, 대왕세종의 뜻을 이은 사람들이 나옵니다..

그 꿈과 정신을 이은 왕은 누구였을까요?라며 물음으로 시작하지요..

문종과 세종, 성종, 정조........이중 누가 세종의 뜻을 이은 사람일까요?

짤막하지만 핵심을 그대로 뽑아 놓은듯한 글들이 역사라는 것을

새로이 보는 눈을 가지게 해주더군요...

역사는 그 어떤 과목보다도 중심이 되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역사가 있어야만 "나"라는 존재도 있는것이 아닐까요?

어릴적부터 역사라는 것을 단순히 외우는것이 아닌 가슴으로 느낄수 있게

도와주고 싶어요... 글자체 또한 크고 줄간격이 넓어 눈의 피로를 막았으며

그림또한 만화체로 되어있어 초등학생이 읽기에 아주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 한권으로 많은 어린이들이 내나라의 역사를 바로알고

더 나아가서는 내 나라를 사랑하는 그리고 그 역사속인물처럼 훌륭한 사람으로

자라나길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