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수생활백서 - 2006 제30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박주영 지음 / 민음사 / 2006년 6월
평점 :
절판


뚜렷한 목표를 가지고 성실하게 그것을 준비해 경쟁에서 이기는 것.
이것이 오늘날 사회가 개인에게 요구하는 것이란 생각이 든다.
여기서 목표란 사회가 인정하는 것이어야 한다. 

하지만 이른바 경쟁에서 이기는 사람은 결과적으로 소수이다.
경쟁에서 진 나머지 사람들은 실망하고, 체념하며, 때론 소리없이 반항한다.
주위에 그런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대게 불행한 듯 보인다.

애써 자신만의 가치에 의미를 부여하려 해도, 왠만한 확신이 없는 한 그렇게 살기란 무척 피곤할 것이다. 왜냐하면 주위에서 불쌍하고, 한심하게 볼 것이므로..  

사회가 요구하는 가치가 싫어서, 혹은 그 가치에 자신을 맞출 능력이 되지 않아서인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그런 능력이 안되는 자신을 합리화하다보니 그 가치를 싫어하게 된것인지, 그 가치가 싫어서 특별히 그런 능력을 갖출 노력을 하지 않게 되는 것인지(그럴경우 주로 책으로 도피하는 경우가 많다) 선후관계가 애매하긴 하다.  

아마 이 둘은 엉켜있을 것이다.   

요즘들어 "꼭 뚜렷한 목표를 가지고 살아야 하나?"란 생각이 자주든다.

그러다 보니 사회에서 낙오자들이라고 평가받는 뭔가 흐리멍텅한, 뚜렷한 목표를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들의 이야기에 흥미가 간다. 

처음 이 책에 흥미를 느끼게 된건, 책 이야기가 소설의 주된 소재였기 때문이었다. 책에 대한 막연한 욕심을 가지고 있는 나에게 다음과 같은 서두는 흥미로웠다.  

"오래전 나는 쇼핑몰에 있는 카트를 끌고 서점의 책들을 쓸어 담는 것이 꿈이었다. 그러나 덤벙덤벙 아무거나 닥치는 대로 담는 것은 곤란하다. (....) 그러나 끝내는 재빠르게, 한 시간 남짓 카트 하나를 책으로 가득 채워 계산을 하고 차 트렁크를 책으로 꽈악 채우고서 예정된 곳으로 떠나는 일을 꼭 한 번 해보고 싶었다" (9쪽). 

한번쯤은 그런 장면을 꿈꿔본 적이
있었기에.   

학부에서 정치외교학을 전공했다는 것 또한 흥미로웠고, 같은 전공의 대학원을 다녔다는 사실 또한 흥미롭다. 비록 소설에 등장하는 수많은 '책'들 중에 사회과학서라고 할만한 책은 거의 없지만. 

책만 읽고 사는 것. 이것이 (용인될 수 있는) 목표가 될 수 있을까?  
뭐 돈만 있다면야.  

경계너머 20대의 한 감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