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부터 책에 관련된 여러 잡담들을 기록하려 한다. 크게는 내가 무슨 책을 어디서 샀는지, 어떤 동기로 책을 사게 되었는지, 책을 구입하면서 알게된 사실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또 특정 책을 구입하게 된 계기로 구입하고 싶은 또 다른 책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에 대해 정리할 것이다. 

그냥, 무언가라도 써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읽기만 하고, 쓰지 않으면, 무언가 남겨놓지 않으면, 결국 무엇이라도 남아있지 않을 것 같은 생각이 들어서이다. 책을 읽고 책의 내용에 관해 정리를 하는 것이 필요하겠지만, 능력과 노력이 부족해 이렇게 책에 관한 잡담이라도 남겨야 할 것 같다.  
 

오늘 3권의 책을 구입했다. 로버트 O. 팩스턴의 <파시즘: 열정과 광기의 정치 혁명>(이하 <파시즘>)과 마크 마조어의 <발칸의 역사>, 마지막으로 박홍규의 <누가 아렌트와 토크빌을 읽었다 하는가>이다. 교내에서 주요 사회과학 출판사들이 할인 행사를 하길래, 또 책 욕심을 내게 되었다. 

 <파시즘>이란 책을 알게 된 계기는 김진석의 <기우뚱한 균형>을 읽으면서 였다. '민주주의, 우파 근본주의와 좌파 근본주의 사이로'란 챕터에서 김진석은 우파 근본주의와 좌파 근본주의 모두 밎주우의를 "타락 혹은 변질이라는 이름으로, 비판하고 비난(167쪽)"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면서 든 필자들이 공병호와 임지현이다. 자유주의자들과 민주주의와의 긴장에 대해서는 나름대로 알고 있다고 생각했던 터라 그다지 새로운 것은 없었지만(유독 재벌문제에 대해서는 관대한 자유주의자로서의 일관성도 지키지 않고 있다는 사실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임지현의 이른바 '일상적 파시즘'론에 대한 비판은 흥미로웠다. 임지현에 대한 김진석의 비판은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임지현이 독재와 파시즘이 '대중의 자발적 동원'에 의해 가능했다는 사실을 너무 강조하려다 보니, 파시즘을 하나의 역사적 현상이 아닌 "본질적 실체"로 규정(177쪽)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둘째, 이것의 함의와 관련해 결국 임지현은 '대중의 자발적 참여와 동의'라는 메커니즘의 역사성은 무시한채, 은근히 "대중민주주의 자체의 위험을 끊임없이 환기하는 악의적 역할을 하고 있다"(180쪽)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그가 임지현의 논리에 대한 반박의 근거로 인용하고 있는 책이 팩스턴의 <파시즘>이었다. 성공회대 조효제 교수가 쓴 머리글을 잠시 보니, 그 역시 '일상적 파시즘'이나 '대중 독재'논의에 대해 조심스러운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 처럼 보인다.  

   
  이 책을 읽고 나면 '일상적 파시즘'이나 '대중 독재'등의 논의가 왜 파시즘의 이해를 명료하게 해주기보다는 오히려 흐리게 하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중략) 파시즘을 정확한 기술적 용어로 쓰지 않고 일종의 유행어로 남발하는 것은 파시즘을 예방하기보다는 오히려 파시즘의 독성에 무감각해질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14쪽)
사실 '대중의 자발적 동의'에 대한 문제는 나에게도 흥미로우면서도 어려운 주제인데, 팩스턴은 파시즘을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 궁금해진다. 한편 김진석과 조효제의 주장을 평가하기 위해선 임지현의 글들 또한 읽어봐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다음으로 구입한 책은 마크 마조어의 <발칸의 역사>이다. 이 책은 책의 내용이나 주제보다는 순전히 저자를 보고 구입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