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장 지글러 지음, 유영미 옮김, 우석훈 해제, 주경복 부록 / 갈라파고스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시커멓다. 피골이 상접하다. 쇠약증으로 인해 배만 불룩하다. 쉬파리가 주위를 윙윙거려도 그저 커다란 눈만 깜박일 뿐 별다른 움직임이 없다. 기아 하면 떠오르는 것들이다.

 나의 배고픔에 대한 기억은 어린 시절 한두 끼 정도 굶었다는 정도에 머물러 있다. 한나절부터 배에서는 꼬르륵 소리가 났지만 저녁이 한참 저물고도 장에 간 어머니는 쉬이 돌아오지 않는다. 저녁 끼니마저 굶으면 어쩌나 하는 두려움은 있지만 어머니만 돌아오면 그 허기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는 희망도 있었다. 하지만 이 지구상에는 8억 5천만 명의 사람들이 그 출구가 보이지 않는 만성적인 기아에 허덕이고 있다고 하니 믿을 엄두가 나지 않는다.

 우리는 흔히 다른 사람의 치명적인 고통보다 내 눈에 들어간 티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5초마다 1명씩의 아이가 기아로 인해 목숨을 잃고, 3분에 1명씩 비타민의 부족으로 시력을 잃고 있다는 것이 그저 수치로만 느껴지는 건 그만치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삶이 기아로부터 빗겨나 있기 때문이리라. 그리고 초근목피로 연명해야 했던 슬픈 역사를 가진 시절을 회상하기 싫었는지 학교에서도 기아에 대해서는 제대로 가르쳐주지 않았다.

 지구상에는 120억의 인구가 먹고도 남을 식량이 풍부하게 있는데 왜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의 가난한 사람들은 기아에 시달릴까? 유엔 인권위원회의 식량특별조사관으로 활동한 경험을 바탕으로 장 지글러는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를 통해 우리에게 기아의 문제에 대해서 정확하게 말하고 있다. 첫째, 가난한 사람들에게 식량을 확보할 경제적 수단이 없어 식량이 불공평하게 분배되는 사회구조 상의 문제, 둘째, 자신은 굶어죽지 않을 것을 아는 사람들이 말하는 숙명적인 기아는 지구의 과잉인구를 조절한다는 정신상의 문제, 셋째, ‘화이트칼라 강도들’이라고 불리는 곡물 메이저에 의한 곡물시장의 왜곡과 식량가격의 조절을 위한 식량의 폐기 처분 등을 기아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우리들은 기아에 대해서 앞에서 말한 사회 구조상의 문제보다는 개인의 게으름이나 그 나라의 경제적인 문제로 축소해 보려는 경향이 있다. 그런 시각 때문일까 식량 가격의 안정을 위해 소를 집단으로 도살하여 매립한다든가 쌀을 태워버리는 장면이 TV를 통해서 나와도 그저 일상생활처럼 받아들인다. 글로벌시대의 경쟁과 신자본주의 체제에 편입돼 있는 사람으로서는 남의 배고픔에 관심을 두는 것조차 벅찬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기아를 극복할 수 있을까?
장 지글러는 토지개량이나 농업지원, 빈민가의 인프라 정비 등의 응급 조치적 수준에서 벗어나 선진국들이 자국의 이익과 영향권에 우선하기보다는 가난한 나라 스스로 자급자족의 경제를 스스로 이룩할 수 있는 힘을 길러 주어야 하며, 더불어 인간의 문제는 인간이 풀어야 한다는 전제 하에 모두가 인간다운 삶을 살고 인간적인 지구를 만들어 가는 것만이 기아의 문제를 궁극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길이라고 밝히고 있다.

 지금도 우리 집 식탁에는 먹다버리는 음식들이 많다. 그리고 아이가 밥을 먹다 밥알 하나 흘렀다고 해서 그걸 아깝게 생각하지 않는다. 그만큼 사는 게 풍요해졌다. 책 한 권 읽었다고 해서 흥분하여 기아 퇴치를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하지는 못할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누리고 있는 이 풍요로움의 이면에는 기아가 신음하고 있으며, 그 기아가 결코 그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모두의 사랑과 관심으로 해결될 수 있는 것임을 알게 됐다. 그리고 나중에 내 아이들도 커서 이 책을 읽고 기아에 대해, 인간다운 삶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from 風林火山 : 승부사의 이야기 2007-11-18 22:03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장 지글러 지음, 유영미 옮김, 우석훈 해제, 주경복 부록/갈라파고스 2007년 11월 도서목록에 있는 책으로 2007년 11월 8일 읽은 책이다. 관심분야의 책들 위주로 읽다가 알라딘 리뷰 선발 대회 때문에 선택하게 된 책인데, 이런 책을 읽을 수록 점점 내 관심분야가 달라져감을 느낀다. 총평 물질적 풍요로움이 넘쳐나는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이기에 이 책에서 언급하는 "기아의 진실"은 가히 충격적이다. 막연하게 못 사..
 
 
 
요술 호리병박의 비밀 작은거인 11
장톈이 지음, 김택규 옮김, 왕지성 그림 / 국민서관 / 2007년 2월
평점 :
절판


나에게도 가난했지만 지나고 나니 아련하게 떠오르는 어린 시절이 있었다. 초등학교 수업이 끝나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남의 밭에서 무를 빼 먹기도 하고 산에서 산딸기 등을 따먹어도 허기는 쉽게 가시지 않았다. '라면땅을 먹고 싶다 통닭을 먹고 싶다 자장면을 먹고 싶다' 이런 저런 생각 마디마디에 배에서는 꼬르륵 소리를 내고 안달을 부렸지만 그런 소원은 하나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월트 디지니 사에서 영화로도 제작된 <요술 호리병박의 비밀>은 거짓말을 못하는 정직한 아이 왕바오가 낚시를 하다 말도 하고 사람의 마음도 읽고 생각하는 대로 모든 것들을 이루어주는 요술 호리병박을 가짐으로써 시작된다. 무엇이든 가질 수 있는 특별한 행복을 가진 왕바오는 예전처럼 평범한 친구들과 같이 놀기도 어려워졌고, 마음먹은 모든 일들이 이루어지지만 정작 본인의 힘으로 이루었을 때 느끼는 보람과 재미를 빼앗긴다. 머리가 텅비워 생각할 수 없고 명령에만 따르고, 자기가 만드는 것이 아니라 남이 만들어 놓은 것을 갖다줄 수 있는 능력만 가진 요술 호리병박과의 만남에서 왕바오는 스스로 노력해서 얻은 결실만이 기쁨을 준다는 걸 느낀다.

 요즘 물질적 우선시 되는 사회에서는 노력하지 않고 쉽게 이루려고 하는 사람들이 많다. 돈만 벌 수 있다면야, 출세만 할 수 있다면야 정신적으로 망가져도 하고 보려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그렇지만 그 결실들이 다른 사람의 노력의 대가를 훔쳐오는 것이라면 과연 무슨 가치가 있으며, 힘들게 노력한 과정도 없이 결과만 좋게 바라는 것이 과연 올바른가에 대해 다시금 생각하게  한다.

 <요술 호리병박의 비밀>은 판타지 동화라는 탓도 있겠지만, 일어났던 모든 일들이 왕바오가 한나절에 꾼 꿈이었다고 하기에는 요술 호리병박과의 만남이 아쉬워진다. 꿈에서야 뭔들 바라는 대로 되지 않겠는가, 하지만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세상에서 하나정도는 바라는 대로 이루어지게 해 주는 요술 호리병박과의 만남이 판타지가 아닌 현실에서도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