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합리성의 심리학 - 왜 인간은 어처구니없는 실수를 반복하는가
스튜어트 서덜랜드 지음, 이세진 옮김 / 교양인 / 2008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합리적이라는 것은 "개인이 지닌 지식 수준에서 그 목적을 달성하기에 가장 좋은 것으로 여겨지는 행위"를 말한다. 그렇지 못한 행위는 비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떤 결정을 내리던 사람들은 자신의 결정이 합리적이기를 바란다. 어느 조직이든지 보면 많은 위원회가 운영되고 있다. 중대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 위원회에서 여러 사람의 중지를 모으는 것이 더 올바른 판단을 할 것 같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한 사람이 내리는 결정보다 못한 결정을 빤히 위원회에서 내놓는다. 이건 분명 합리적이지 못하다. 그렇다면 왜 이런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일까?   

 
현대사회는 심리학이라는 학문이 어색하지 않다. 인간 행동의 여러 심리적 요인들을 분석한 심리학 저서들 또한 독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다. 그렇더라도 심리학 관련 책을 읽자면 용어 이해에 대한 부담감은 언제나 상존한다. 그렇지만 이 책에서는 그런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심리학 실험을 기술하면서 기술적 용어를 거의 쓰지 않았다. 또한 각 장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비합리성에 대한 실험들이 현실적이다. 우리가 주위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현상을 바탕으로 <비합리성의 심리학>은 인간이 자기 중심적이라는 사실을 통해 비합리적 행동을 할 수밖에 없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가장 흥미있었던 부분으로 '죄수의 딜레마'라는 것이 있다. 공범으로 지목된 두 사람에게 어떤 진술을 하느냐에 따라 형량이 변한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서로 죄를 자백하지 않으면 중벌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을 미끼로 인간의 심리를 교묘하게 이용하고 있다. 이는 인간이 생각의 오류를 일으키게 하는 비합리성의 단면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다. 이 책은 복종이나 순응, 잘못된 일관성, 보상과 처벌, 증거의 무시와 왜곡 등 우리가 실제 경험하기도 하는 사례들을 통해 비합리성의 사회적 원인을 예리하게 담아내고 있다.  

 
사람은 자신이 합리적인 사람이고 결정을 할 때에도 합리적으로 결정하기를 바란다. 그렇지만 이 책은 똑똑한 사람들이 반복적으로 일으키는 어처구니 없는 실수의 원인을 비합리성으로 본다. 무지비하고 간교하게 행해진 피험자들에 대한 광범위한 실험을 통해 사람들이 왜 비합리적으로 행동하게 되는지와 비합리성의 깊은 원인을 고찰하고 있다. 그런 실험들을 통해 저자는 사람들이 이성적이거나 합리적으로 행동하려고 할 때 오히려 비합리적인 방식으로 행동한다고 규정 짓는다. 아무렇지도 않게 비합리적인 행동을 저지르는 건 자신이 믿고 있는 신념만이 오직 옳다는 자기정당화의 심리가 그 바탕에 깔려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의 저자도 밝혔듯이 비합리성을 치유할 수 있는 단방약은 그렇게 쉽게 처방할 수 없음 또한 자명해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